Skip to content

April 4, 1957

Notes from a Conversation between the 1st Secretary of the PRL Embassy in the DPRK with the 1st Secretary of the Embassy of the USSR, Comrade Pimenov of 26-27-28-29.III.1957

This document was made possible with support from ROK Ministry of Unification

Embassy of the Pyongyang, 4.IV.1957

People’s Republic of Poland

in Pyongyang [trans. note:  tilted stamp]

No. 267/37/2421/57/ [trans. note:  illegible initials]

 

Secret [trans. note:  added by hand]

 

N o t e

 

From a conversation with the 1st Secretary of the Embassy of the USSR, Comr. Pimenov of 26-27-28-29.III.1957

 

In February Comr. Pimenov had asked me whether he could go with me to our Mission in Panmunjeom.  After discussing this matter with Comr. Brzostowski, we agreed on a date to visit the mission, 26-29 March 1957.

During the journey, as well as at the destination in Panmunjeom, the following issues were brought up with Comr. Pimenov:

 

1.  The issue of groups within the leadership of the DPRK.

 

Comr. Pimenov brought up the issue of Heo Ga-I [Ho Ka I] (secretary of the C[entral] C[ommittee], who after the 4th plenum (toward the end of the war) had been accused of wanting to appropriate power for himself in the DPRK.  Heo Ga-i had come from the Soviet Union.  The official version of Heo Ga-i’s shortcomings spoke of an incorrect attitude toward party discipline and an excessive removal of people from the party.  Heo Ga-i committed suicide.  The Korean comrades assessed this fact as a deed unworthy of a communist, indicating the fact that Heo Ga-i feared revealing secret matters that burdened him.  Shortly thereafter came the issue of the minister of communications Pak Il-u [Pak Il U], who stemmed from the activists who had previously been active on Chinese territory.  This minister had been removed and isolated for a certain length of time under house arrest for his attitude to the people who had come from the Soviet Union.  Then in 1955 came the case of Vice-minister of Culture Jeong Ryul [Jong Ryul], who promoted that everything that is Soviet is good and right, and rejected and denied the Korean cultural heritage.  After the December plenum of the CC in 1955, at which Kim Il Sung sharply condemned such activity, a new vice-minister of culture and science, who had finished the Higher Party School in the USSR, was named.

 

At the beginning of 1956 sentiments grew against Koreans who had come from the USSR.  These sentiments arose among the broad masses and were born from the bottom (in Pimenov’s opinion).  A consequence of these sentiments was the fact of removals from work and certain harassment of people arrived from the USSR.  Comr. Pimenov gave as a reason for this kind of phenomena that people who had arrived from the USSR were being placed in quite well-paying positions, these people did not always behave correctly and differed in their way of life from the nation, which caused frictions.  This harassment has currently quieted down, and attempts are being made to correct the harm done to people who returned from the USSR.

 

After the 20th Congress quite a wide group arose among party activists, which criticized the existing method of placing and educating the cadres and the absence of freedom of discussion in the party.  This group spread out its activity widely during the absence of the Korean government delegation in the countries of people’s democracies.  After the delegation’s return, the question of this group’s activities was presented to Kim Il Sung.  It was intended to summon a plenum at the beginning of August (the delegation returned around July 20).  The plenum was put off until the end of August.  In this period, those persons among CC members who spoke out in favor of this group were summoned to the CC.  The talks at the CC were conducted had a specific character, with the goal of isolating the active members of the group.  In the talks, pressure was exerted on the CC members so that they would not support the slogans of the group.  As a consequence of this activity, at the August plenum (30 and 31 August) the members of the group were not permitted to speak at all.  There was general shouting[:]  off the podium with you!  Then during the second day of the plenum’s deliberations, four persons from this group fled to China.  China, despite a request from the DPRK, did not send these persons back to Korea.  At the August plenum, the representatives and sympathizers of this group were condemned very sternly.  They were expelled from the party.  A special resolution was passed on this subject.  The runaways to China reached the CC of China at the times when a Party Congress was taking place in China.  Mikoyan and Peng Dehuai arrived in Korea then for an unofficial visit.  As a result of the talks that were conducted with the leadership of the DPRK party, a new resolution toward the group was adopted at the September plenum of the CC of the Workers’ Party.  The people removed (at the August plenum) were admitted into the party and it was agreed that both resolutions toward the group would be published in the press to allow the nation to assess the reasons for the change in position.  It was also agree that those people would not be persecuted.  As Comr. Pimenov asserted, this agreement is not currently being honored in the DPRK.  The press did not publish the resolutions of both plena, those who spoke up at the August plenum are being finished off by various methods (politically-administratively).  Comr. Pimenov responded to the question did the activity of the group die down now? that the topic has quite died down.  He then mentioned in this context that Pak Chang-ok [Pak Chang Ok] former vice-premier came from the USSR and Choe Chang-ik [Choe Chang Ik] from China.  (both were members of the Political Bureau in the DPRK presidium of the CC).

 

Following the September plenum the minister of construction Kim Seung-hwa [Kim Sung Hwa] was removed.  The Minister of Construction had been part of that group.  Because of the widespread popularity of minister Kim Seung-hwa it was not dared to cause any administrative harm to him, he was sent to the higher Party School in the USSR.  After the minister’s departure articles, which sharply vilified the minister, appeared in the press.  Comr. Pimenov stressed that it would not be strange if Kim Seung-hwa were to act like Ri Sang-jo [Ri Sang Jo] (former DPRK Ambassador to the USSR), i.e., ask for asylum.

 

I am writing this part of my note on the basis of conversations with Comr. Pimenov during the trip to Panmunjeom, as well as from the week before, when I invited Comr. Pimenov to go hunting.

 

2.  Comr. Pimenov, traveling to Panmunjeom, wished to orient himself about how the situation in the NNSC [Neutral Nations Supervisory Commission] presents itself in general outline, how cooperation with the Swedes and Swiss is working out and what issues are currently on the agenda in the Commission.

 

Minister Brzostowski provided information on this subject.  Apart from this, Comr. Pimenov paid a visit to the Korean general Jeong Geuk-rok [Jong Kuk Rok](chairman of the Military Armistice Commission on behalf of the DPRK).  General Jeong Geuk-rok told Comr. Pimenov about his meeting with general An of South Korea (October of last year).  At this meeting, which was organized with the assistance of the Swedes, several issues were discussed, including the question of reunifying Korea.  Jeong Geuk-rok assessed the meeting positively.  The meeting lasted one and a half hours.  It was decided then that further meetings would take place.  No further meetings took place.  Jeong Geuk-rok believes that the Americans became mixed up in the matter.  The incident with the airplane from the south, which was shot down in the territory of the DPRK also had a certain influence. Jeong Geuk-rok’s and Minister Brzostowski’s opinions on the issue of conditions present in the DPRK overlapped.

 

3. On the issue of Soviet advisers present in Korea, Comr. Pimenov emphasized that the Korean comrades demanded the recalling of nearly all Soviet advisers.  Right now there remains an adviser from the State Commission for Economic Planning (until May, the deadline for the development of the 5-year plan) and a military adviser.  The military adviser will probably be recalled shortly, and an office of Military Attache will be created.

 

4.  Comr. Pimenov promised to relay data concerning an agreement about scientific-technical cooperation between the USSR and the DPRK.  We will be informed what the Korean side demanded and what the USSR can offer.

 

7 cop[ies] made

6 cops. M[inisterstwo] S[praw] Z[agranicznych—

Ministry of Foreign Affairs] Dep. V

1 cop[y] a/a Brzeziński Henryk

[transl. note:  signature]

1st Secretary of the Embassy of the

P[olska] R[zeczpospolita] L[udowa—People’s Republic of Poland—PRP] in the DPRK

주 평양 대사관, 1957년 4월 4일

 

폴란드 인민공화국

 

평양 [역주: 기울어진 소인]

 

제 267/37/2421/57호 [역주: 기울어진 소인]

 

기밀 [역주: 수기로 덧붙여짐]

 

보고

 

1957년 3월 26~29일, 소비에트연합 대사관 1등 비서 피메노프동지의 대화

 

지난 2월 피메노프 동지가 우리의 판문점 방문에 동행이 가능한지를 문의했다. 브르조스토우스키[Brzostowski] 동지와 상의 후 우리는 방문일자를 1957년 3월 26~29일로 결정하였다.

 

여정과 목적지인 판문점에서의 동행 기간 중, 피메노프 동지와 다음 문제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지도부 내의 분파 문제

 

피메노프 동지는 (중앙위원회 비서) 허가이[Heo Ga-I (Ho Ka I)] 문제를 언급하였다. 소련 출신인 허가이는 (한국전쟁 종결 즈음에 개최된) 제 4차 총회 이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권력을 장악하고자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공식적으로 발표된 허가이의 단점은 당 원칙에 대한 불량한 태도였으며 한편으로는 지나치게 많은 당원을 제거하고자 한 것이었다. 그 결과로 허가이는 자살하였다. 조선 동지들은 이 사실을 공산주의자답지 못한 것으로 여기며, 허가이가 부담스럽게 여긴 비밀을 공개하기를 꺼려한 것으로 생각한다. 사건 직후, 중국지역의 활동가 무리에서 배출된 체신상 박일우 문제가 발생하였다. 그는 소비에트 연합에서 온 사람들에 대한 (불량한) 태도 때문에 정치권에서 숙청되어 상당 시간 동안 가택 구금된 바 있다. 1955년에는 문화부수상 정렬이, 소련의 행동이 모두 옳다고 주장하며 조선의 문화유산을 부정한 사건이 발생했다. 1955년 12월 중앙위원회 총회에서 김일성이 위와 같은 행동을 강력히 비판하며, 소련에서 고등당교육소[Higher Party School]를 마친 문화과학성 부수상의 이름이 언급되었다.

 

1956년 초, 소비에트 연합에서 온 조선인들에 대해 특히 (피메노프의 의견에 따르면) 사회하부계층으로부터 대중적인 반감이 생겨났으며, 그 결과로 일부 사람들이 일터에서 해고되거나 소련으로부터 도착한 인민들이 비난을 받게 되었다. 피메노프 동지는 다소 고소득 직위에 배치된 소련출신 인사들이 국내인민들과 다소 다른 생활방식을 유지하며 때로 올바른 언행을 보이지 않았기 때문에 이러한 마찰이 생겨난 것이라고 이유를 들었다. 현재 이러한 논란은 가라앉았으며 소련으로부터 돌아온 사람들에게 가해진 해를 복구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제 20차 당대회 이후, 로동당 활동가 중 다소 폭넓은 조직이 들고 일어나 기존의 당간부 임명 및 교육 문제와 당 내 토론의 자유가 없음을 비판하기 시작하였다. 이 조직은 조선 정부대표단이 자리를 비운 사이 더욱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그러나 대표단이 귀환하며 이들의 활동이 김일성에게 보고되었다. 총회는 당초 8월 초 (대표단의 귀국은 대략 7월 20일경이었음) 개최 예정이었으나 8월 말까지 연기되었다. 이 사이 이들 조직에 우호적이었던 중앙위원회 당원들이 중앙위원회에 호출되었다. 중앙위원회에서의 대담은 이 조직에서 활발한 당원들을 고립시키고자 하는 의미를 띠었다. 이 대담에서는 중앙위원회 당원들에게 압력을 가해 그들이 이 조직의 슬로건을 지지하지 못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로서 8월 총회(8월 30일, 31일)에서 이 조직의 당원에게는 발언권이 수여되지 않았다. 보통 연단에서 쫓아내라는 고함이 있었고, 총회의 이튿날엔 이 조직의 당원 네 명이 중국으로 피신하였다. 중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요청에도 불구하고 이들을 조선으로 송환하지 않았다. 8월 총회에서 이 조직의 대표단과 동조자들은 매우 엄중히 책망 당했다. 이들은 당에서 쫓겨났고 이 문제에 대한 특별 결의가 통과되었다. 중국으로 망명한 무리는 중국 당대회가 열릴 무렵 중공 중앙위원회에 도달하였으며, 이윽고 미코얀과 펑더화이가 (북)조선에 비공식적으로 방문하였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당 지도부와의 회담 결과로 이 조직에 대한 새로운 결의가 로동당 중앙위원회 9월 총회에서 도입되었다. 즉, (8월 총회에서 쫓겨난 당원들이 당에 합류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러한 입장변화를 설명하기 위해 이 조직에 대한 두 개의 결의문이 모두 언론에 공개되도록 합의하였다. 또한 이 인물들을 숙청하지 않기로 합의하였다. 피메노프 동지가 주장한 바와 같이, 이 합의는 현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호응을 얻고 있지 않다.  언론은 8월과 9월 총회의 결의를 모두 공개하지는 않았으며, 8월 총회에서 발언한 자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제거되고 있다. (정치적, 행정적으로) 피메노프 동지는 현재 이 조직의 활동이 누그러졌느냐는 질문에 그 논의는 상당히 잠잠해졌다고 답했다. 그리고 나서 그는 이 맥락에서 전 부수상인 박창옥과 최창익이 각각 소련과 중국에서 온 이야기를 전했다. (이 둘은 모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앙위원회 최고위원회 정치부 간부였다).

 

9월 총회 이후 이 조직에 참여했던 건설상 김승화가 해임되었다. 그러나 김승화의 높은 지명도 때문에 이는 그에게 어떠한 행정상 불이익을 미치지는 않았으며 그는 소련의 고등당교육소로 보내졌다. 김승화가 떠난 후, 그를 심하게 비방하는 기사가 언론에 보고되었다. 피메노프 동지는 김승화가 (전 조선민주주의인공화국 소련대사였던) 리승조와 같은 행동, 즉 망명 요청을 하더라도 이상한 일이 아니라고 말했다.

 

나는 판문점까지의 여정과 그보다 일주 전 피메노프 동지를 사냥에 초대했을 때 피메노프 동지와 나눈 대화에 의거하여 보고서를 작성한 것이다.

 

2.  피메노프 동지는, 판문점까지의 여정 동안, 중립국감시위원단이 일반적으로 어떤 입장을 취하며 스웨덴과 스위스의 협력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현재 위원회에서 어떠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지 인지해두고자 하였다.

 

브르조스토우스키 수상이 이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했으며 피메노프 동지는 이 외에도 정극록 장군(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표 휴전위원회 위원장)을 찾아 남조선의 안 장군과 회담(작년 10월)에 대해 이야기를 들었다. 이 방문은 스웨덴의 도움으로 이루어졌으며 한국의 통일 등, 다수의 주제가 논의되었다. 정극록은 이 회의를 긍정적으로 평가했으며 약 한 시간 반 정도에 걸쳐 이루어진 회의 후, 추가적인 회의를 개최하기로 결정하기도 했다. 그러나 추가 회담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영공에서 격추된 남측의 항공기 사건이 영향을 미쳤으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문제에 대해 정극록과 브르조스토우스키 수상의 의견이 중복되기도 했다.

 

3. 조선에 있는 소련 자문관 문제에 관하여 피메노프 동지는 조선 동지들이 거의 모든 소련 자문관들의 귀환을 요구한다고 강조하였다. 현재에는 경제계획위원회에 1인(5개년 계획의 종료시점인 5월까지)과 군사 자문 1인 만이 남아있는 상태이다. 군사 자문 또한 곧 소환될 예정이며 군사 담당관 사무소가 개설 될 예정이다.

 

4.  피메노프 동지는 소련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이 과학기술협력 계약 체결에 관해 정보를 전달해주기로 약속했으며 우리는 곧 조선측 요구사항과 소련측 제공사항 내역을 입수하게 될 것이다.

 

7부 복사

 

6부 외무성 4부서 전달

 

1부 a/a Brzezinski Henryk

 

[역주: 서명]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주재 폴란드인민공화국 대사관

 

1등 서기관

 

Brzezinski Henryk and Comrade Pimenov discuss political groups in North Korea, Soviet specialists in the DPRK, the Neutral Nations Supervisory Commission, and the reunification of Korea.


Document Information

Source

Polish Foreign Ministry Archive. Obtained for NKIDP from the by Jakub Poprocki and translated for NKIDP by Maya Latynski.

Rights

The History and Public Policy Program welcomes reuse of Digital Archive materials for research and educational purposes. Some documents may be subject to copyright, which is retained by the rights holders in accordance with US and international copyright laws. When possible, rights holders have been contacted for permission to reproduce their materials.

To enquire about this document's rights status or request permission for commercial use, please contact the History and Public Policy Program at [email protected].

Original Uploaded Date

2011-11-20

Type

Note

Language

Record ID

110040

Donors

ROK Ministry of Unif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