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March 13, 1972

Note on a Conversation with the 1st Secretary of the USSR Embassy, Comrade Kurbatov, on 10 March 1972 in the GDR Embassy

This document was made possible with support from ROK Ministry of Unification

GDR Embassy to DPRK

Pyongyang, 13 March 1972

 

 

N o t e

on a Conversation with the 1st Secretary of the USSR Embassy, Comrade Kurbatov, on 10 March 1972 in the GDR Embassy

 

 

During the conversation there was an exchange of opinions on the following questions:

 

The DPRK Position on the Nixon Visit to Beijing and Its Influence on the Situation in Korea

 

Based on a written draft, Comrade Kurbatov asserted the DPRK reaction demonstrates how the Korean leadership is very content with the result, in particular with the inclusion of the Korea Problem into the [Shanghai] Communiqué between China and the United States. It [Korean leadership] is very pleased with the support of the DPRK Eight-Point Proposal and the demand to dissolve UNCURK. The Korean leaders think that the Chinese maintained a firm position on Korea. As “Rodong Sinmun” writes, the Korean leadership is viewing this as a great assistance “by the fraternal Chinese people”. During Nixon’s actual stay in Beijing, the Koreans stated how the DPRK position was laid out in Kim Il Sung’s speech from 6 August 1971. Nixon would not arrive in Beijing as a victor but as a defeated. This Korean position had been reiterated in the [Kim Il Sung] interview with [the Japanese newspaper] “Yomiuri Shimbun” [in January 1972]. The Nixon visit was interpreted as forced upon the American president. This way the Korean side assisted China’s policy and agreed to the discussion of the Korean question in the talks.

 

In its publications the Korean leadership attempts to hide from its people the parallel interests of China and the United States. It is pursuing its nationalist course and fails to notice the anti-Soviet aspect of rapprochement between the Chinese leadership and the United States. The Korean leadership asserts China is a “socialist power,” “stands firm on the basis of proletarian internationalism,” and so on. The Korean leadership’s position entirely consists of a course of pragmatism. In their policy toward the Soviet Union and other socialist countries, the Korean leaders are increasingly guided by pragmatic considerations. They are eager to achieve Korean unification primarily with Chinese assistance. It became evident that, in preparation for the talks with Nixon, Chinese leaders were not interested in tensions on the Korean peninsula (like, for instance, during the declaration of a state of emergency in South Korea). The Chinese were successful to move the Korean leadership from its entrenched position. The inclusion of the Korean question into the talks in Beijing, which had occurred not without the knowledge of the Koreans, speaks to new elements in relations between DPRK and China and to new aspects in the Chinese leadership’s policy towards the DPRK. The Chinese increasingly take matters to solve the Korean question into their own hands.

 

Kim Il Sung’s visit to Beijing—which allegedly did not occur in early February according to the official version—served the purpose of finalizing the exact joint position on the Korean question for the talks with Nixon. Also the stay of a group of Koreans in Beijing in permanent close touch with the Chinese side further demonstrated the increased stability of relations between the two sides. The Korean side denies a visit by Kim Il Sung to Beijing. Yet Chinese diplomats do not express denials but indicate how permanent consultations are possible, and a visit must hot have been unusual. It can be assumed that the Koreans and Chinese recently had another exchange of opinions about the Nixon visit. The [“Rodong Sinmun”] editorial of March 4 seems to be an indication of that. It can be expected in this context that steps will be taken to create a favorable situation for the withdrawal of U.S. troops from South Korea. The Korean leadership views such as its main objective in the near future. Information exists according to which the Korean leadership has been continuously informed by secret material about the course of negotiations with Nixon. The talks with him in Beijing proved that China and the United States have common interests and want to resolve Asian and other problems without the Soviet Union. He [Kurbatov] also referred to differing assessments of the Nixon visit by DPRK and DRV [Democratic republic of Vietnam].

 

I thanked Comrade Kurbatov for his presentation and informed him in turn about the evaluation of the Nixon visit by our Embassy.

 

Note: A comparison of the text of the [Shanghai] communiqué between China and the United States and the published version in the DPRK press shows that it was printed almost verbatim with only few omissions: The last sentence in the first paragraph, the third paragraph, the term “Republic [of] Korea,” and the last paragraph.

 

 

Conversation of Comrade Brezhnev with Foreign Minister Heo Dam [Ho Tam] in Moscow

 

Here Comrade Kurbatov remarked that Comrade Heo Dam told Comrade Brezhnev that the DPRK will assume a new position towards Japan. There are also new elements in Japan’s attitude towards the DPRK. Another aspect of the talks with Comrade Brezhnev were Comrade Heo Dam’s statements concerning the United Nations. The DPRK, according to Comrade Heo Dam, is expecting from the Soviet Union and the socialist countries to support and defend DPRK position in the U.N. The PR China would stand up and support the DPRK there as well. Comrade Heo Dam continued how it would be positive if the socialist countries will act in the U.N. in a coordinated and identical fashion with China’s positions.

 

The issues of Japan and the U.N. were not included in the “Joint Message” [of USSR and DPRK on the visit]. Comrade Brezhnev just listened to the statements on Japan and remarked about the U.N. that this question warrants close study.

Comrade Kurbatov stated furthermore that currently the Soviet Union is excluding an attack by the South against the North.

 

On DPRK-PRC relations Comrade Heo Dam noticed the improvement of relations, though they had not occurred at the expense of DPRK relations with the Soviet Union and other socialist countries. Moreover, Comrade Heo Dam said in his talk [with Brezhnev] that the Chinese side will be fully informed about what the Korean side expressed in its talk with the Soviet comrades.

 

Although it is an important question, there had been no [Korean-Soviet] consultations about party relations [KWP-CPSU] on this level [Brezhnev-Heo Dam].

 

Later Ambassador Sudarikov will inform more extensively about the Heo Dam visit.

 

 

Some Aspects of KWP Activity in the Communist World Movement

 

Based on a written draft, Comrade Kurbatov made the following remarks:

 

In 1971 and 1972 the KWP continued relations with communist and workers’ parties. It participated in party congresses of several parties and practiced exchanges of delegations. It invited delegations from different parties to the DPRK. As previously, the KWP builds its party relations on a bilateral basis and refrains from multilateral cooperation. It increases its efforts to summarize the ideology of Juche into a comprehensive system and declares Kim Il Sung’s Juche ideology as the only basis for party activities. The 5th Party Congress pushed through a petit bourgeois, nationalist line contradicting socialist development. These nationalist tendencies and the strengthening of relations with China have increased some negative tendencies in the communist movement and in KWP relations to the communist and workers’ movement. Despite official KWP declarations about the need to build relations with individual parties on the basis of Marxism-Leninism, by its actual activities in the international communist movement the KWP is contradicting Marxism-Leninism with the nationalist Juche ideology, and proletarian internationalism with “autonomy” and “independence.”

 

The KWP leadership does not consider the experiences of the communist world movement, and it does not follow the collectively agreed decisions of fraternal parties. Instead it praises Kim Il Sung as an eminent leader of the communist and workers’ movement and praises him as a genius of the revolution. The KWP is guided by his works where he “provided wise analysis of the features in the current international situation.” It is guided by Kim Il Sung as “a leader of the anti-imperialist forces” because his ideas “accelerate the demise of imperialism and guide the world revolution on the path of victory.” Kim Il Sung’s works, his statements during internal meetings with foreign party officials, and his published speeches invite the assumption that he has a negative view of theory and practice of the construction of socialism and communism in the Soviet Union and the socialist fraternal countries. Apparently he sees the path to socialism in the DPRK as the “only correct and exemplary one for other countries”. For instance, he declared in a conversation with the delegation of the leftist party of Swedish communists visiting the DPRK that he does not agree with the CPSU course to develop the Soviet Union as a people’s state, since in his opinion such leads to a weakening of the dictatorship of the proletariat.

 

According to Kim Yeong-nam [Kim Yong Nam], Deputy Head of the [International] Department IV in the [KWP] Central Committee, who based his statement on sayings by Kim Il Sung, “individual countries where the proletariat has risen to power cannot ignore the facts of a danger of imperialist aggression and the restoration of capitalism through encirclement by the international capital, before communism will be eventually established on a global scale.”

 

Based on Kim Il Sung’s ideas, the Koran propaganda is currently leading a broad campaign that defines as supporters of revisionism all parties which do not agree with positions of Kim Il Sung on questions like personality cult, dictatorship of the proletariat, class struggle, and so on. In this context a couple of embassies from the socialist countries have reached the conclusion that such a campaign leads to the development of camouflaged anti-Sovietism in the DPRK.

 

All this said and considered, the appeals by the Korean leaders for unity and closeness of the communist movement are just declaratory in nature, dishonest, and they are not corroborated by practical measures. The tendency becomes ever more clear that the KWP leadership does not focus on the unity of the communist world movement but aims at the revolutionary peoples of the world, of which the so-called united front of the revolutionary people in Asia constitutes the core (Korea, China, Vietnam, Cambodia, Laos). This approach testifies to a gradual departure from the class position of proletarian internationalism for a transition towards a nationalist, pragmatic position. In this context internal Korean propaganda has begun to claim that the “socialist countries have lost their revolutionary spirit and therefore can currently serve only as a material base for the struggle of the revolutionary peoples.” In public propaganda this position was to be found in somewhat modified form in the “Rodong Sinmun” article “Let us defend the Dictatorship of the Proletariat and the Proletarian Democracy.”

 

As the KWP is counting China among the revolutionary countries, and based on the ideological and political closeness of positions [between DPRK and PRC], we have to conclude that the KWP is on the path to solidify party relations with China. Since 1971 they exchange party delegations. Korean propaganda welcomed the “assignments for the struggle” by the so-called 9th Party Congress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CCP), as well as the implementation of the so-called “Cultural Revolution.” A “Rodong Sinmun” article celebrating the 50th CCP Anniversary claimed, “after the Cultural Revolution, the CCP turned into an even more pure, steeled and strong party.”

 

KWP and PRC have established contacts and organize informational changes. In the DPRK the Chinese journal “Hongqi” continues to be circulated. In pursuing its own goals, the KWP leadership does not pay attention to the anti-Soviet aspects of China’s foreign policy. At the same time it comes close to Chinese positions, as it showed in particular concerning the events in Sudan, India/Pakistan and the Middle East.

 

Recently the KWP has increasingly activated its relationship with the Albanian Workers’ Party. So far DPRK efforts have not resulted in desired Korean reactions on the Albanian side, they only activated bilateral relations on the state level. For the occasion of important anniversaries they exchanged congratulations to underline traditional and friendly relations. The most active development of relations is the one with the Romanian Communist Party (RCP) on a nationalist base and under the labels of “autonomy” and “independence” of the parties. Contacts between KWP and RCP are activated according to an agreement from 1971.

 

KWP participation in the party congresses of the fraternal parties in 1971 (Bulgaria, Czechoslovakia, Mongolia, GDR, Poland, Soviet Union) has not resulted in progress of relations between the parties. The gatherings were used by the KWP leadership as a podium to propagate its special positions in front of the international communist movement, namely to emphasize “autonomy” and “independence” of parties as the base for their mutual relations.

 

The KWP leadership is departing from an exchange of experiences and delegations with the fraternal parties. For instance, despite respective agreements, there were no party officials sent in 1971 for vacations in our respective countries. The KWP leadership pays close attention to the tendencies of parties that deviate from the document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st and workers’ parties meeting in] 1969 [in Moscow]. It is anything but coincidence that after the 1969 Moscow meeting certain parties have paid visits to the DPRK (Sweden, Spain, Norway, Italy, Reunion).

 

In its relations with the parties of capitalist countries the KWP leaders aim at, in our opinion, influencing these parties according to KWP policy and using them as a vehicle to establish diplomatic relations. We must pay close attention—and this is a dangerous phenomenon—that the KWP might establish relations with pro-Chinese splittist groups. For the first time ever, a congratulatory telegram to the KWP was published by the Communist Party of Thailand, which is completely in sync with Chinese positions.

 

An important vehicle to increase influence abroad is the propagation of Kim Il Sung ideas through dissemination of his works and the founding of circles. Recent observations show that more attention is paid to those circles. They attempt to include communists in them in order to create permanent organizations. The Korean leadership tries to gain increasing ground through ideological infiltration into the international communist and anti-imperialist movement. There are ever more publications of congratulatory telegrams to Kim Il Sung with praises of his personality. Those congratulatory telegrams and messages cannot hide their Korean authors. Among other things, they want to manipulate the Korean people into believing that the entire world is studying the works of Kim Il Sung.

 

The slide of the Korean leadership into the nationalist Juche ideology, the proclamation of this ideology’s universal character, and its dissemination abroad, creates an ever growing danger for the socialist community of states and the communist world movement. It requires us to pay increasing attention and to hold consultations between our parties how to approach and deal with these KWP activities.

 

I thanked Comrade Kurbatov for his statements and expressed that we are in agreement about the assessment of KWP activities in the International Communist Movement.

 

Note

A public demonstration of DPRK-PRC relations are facts like how the PRC Embassy in France organized a friendship meeting when on 25 February the DPRK “Mansudae” Ensemble visited France (telegram of 29 February 1972). When the ensemble arrived in Geneva on 8 March, it was welcomed at the train station by, among others, the Chinese Ambassador to Switzerland and employees of the Chinese Embassy. In the evening of the same day the Chinese side hosted a reception in Geneva in honor of the ensemble (telegram of 10 March 1972).

 

 

60th Birthday of Kim Il Sung on 15 April

 

At the end of our conversation, Comrade Kurbatov asked whether the GDR will give a present to Kim Il Sung or wants to award him an order. This is a very problematic question and the [Soviet] embassy has so far not reached a result in its discussions. Here I remarked that so far I only know that we are preparing a congratulatory letter. My personal opinion: A present should have symbolic character, if a present will indeed have to be given.

 

Comrade Gensicke, attaché of our Embassy, also attended this conversation.

 

 

Merten

Acting Ambassador

 

CC

1x Far East Department [Foreign Ministry]

1x Central Committee, Department IV

1x ZID [Foreign Ministry Central Information Service]

1x Embassy, Political Department

 

보고

 

1972년 3월 10일 독일민주공화국 대사관에서 이루어진 소련 대사관 1등 서기관 쿠르바토프 동지와의 면담 내용

 

다음의 질문사항에 대해 의견 교환이 진행되었음:

 

닉슨의 베이징 방문과 이것이 한국 상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북조선(DPRK)의 입장

 

서면 원고에 의하면, 쿠르바토프 동지는 최근 중국과 미국간의 [상하이] 코뮤니케에 한국 문제가 언급되었다는 점에 대해 북조선 지도층이 특히 만족하고 있음을 그들의 반응을 통해 알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북조선 지도층은 북조선의 8도 제안과 언커크[1]의 해체를 요청한 그들의 제안이 수용되었다는 점에서 매우 만족하였다. 북조선 지도층은 중국이 북조선에 대해 견고한 지지의 입장을 표명하였다고 생각한다. 로동신문은 북조선 지도층이 이번 사건을 “우애의 중국인민”이 보여준 지지로 받아들이고 있다고 적었다. 실제 닉슨의 베이징 체류기간 중, 북조선측은 1971년 8월 6일 김일성의 연설문에 명시되어 있는 자신의 입장을 전달하기도 했다. 닉슨은 베이징에 승리자가 아닌 패배자로 도착하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은 북조선의 입장은 [1972년 1월]  [일본 신문]인 요미우리 신문에 실린 [김일성]의 인터뷰에도 반복되어 나타나고 있다. 닉슨의 방문은 미국 대통령에게 가해진 외압으로 성사된 것으로 해석되었다. 이런 방법으로 북조선은 중국의 정책을 지지하고 회담에서 북조선에 대한 질문들을 논의하는데 동의한 것이다.

 

북조선 지도부는 인쇄자료에서 중국과 미국이 공통된 이해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그들의 인민들로부터 은폐하였다. 그들은 민족주의 노선을 취하며 미국과 중국 지도부가 반-소련 주의를 계기로 화해의 움직임을 보인다는 것을 간과하고 있었다. 북조선 지도부는 중국이 “사회주의 권력자”이고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의 견고한 기반을 갖추고 있다”고 확신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북조선 지도부의 입장은 전적으로 실용주의 노선 위에 있다. 소련 및 다른 공산주의 국가들에 대한 그들의 정책에서도 철저한 실용주의적 노선 비중이 계속해서 증가하는 것을 찾아볼 수 있다. 그들은 중국의 지원하에 한반도의 통일을 이루기를 열망한다. 닉슨과의 대화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중국의 지도부가 한반도내의 긴장상황(예를 들어 남한의 국가 비상사태 선포에 대해)에 대해 큰 흥미가 없었다는 점이 명백해졌다. 중국 측은 북조선의 지도층으로 하여금 그들의 완고한 입장으로부터 변화시키는데 성공하였다. 베이징 대화에서 한국에 대한 질문을 포함시킨 것은, 그것이 북조선의 온전한 인지 하에 이루어지긴 하였지만, 결론적으로 북조선과 중국간 관계에 새로운 요인으로 등장하였으며 중국 지도층이 북조선에 대해 가지고 있는 정책적 입장에 또 하나의 관점을 더하게 되었다. 중국은 한국 문제를 자신들의 손으로 해결하기를 원했던 것이다.

 

김일성의 베이징 방문은 – 공식적으로 알려진 바에 따르면 2월초에 이루어 지지는 않았으나 – 닉슨과의 대화에 나타난 북조선 관련 질문으로 북조선과의 정확한 연대지점을 확고히 하고자 하는 목적을 이루게 되었다. 북조선 방문단은 베이징에서 중국 측과 가까이 머무르면서 정기적으로 접촉하였으며 이는 양국간의 공조관계가 보다 안정되었음을 보여준다. 북조선 측은 김일성의 베이징 방문을 부인하고 있다. 반면 중국 측은 이러한 사실을 특별히 부인하지는 않았으나, 양국간의 교류가 충분히 가능한 것이며, 이와 같은 방문이 특별한 일이 아님을 언급하였다. 이에 따라 북조선과 중국 측은 닉슨의 방문과 관련하여 의견교환이 있었음을 어렵지 않게 추측해볼 수 있다. 로동신문 3월 4일자 사설은 이를 함의하고 있는 듯 하다. 이러한 맥락 하에 북조선이 남한에서 미군을 축출해내기 위해 유리한 여건을 조성하기 위한 단계적 조치를 밟아나갈 것이라는 점을 추측해 볼 수 있다. 북조선 지도부는 바로 이 점을 가까운 미래에 달성할 주요 목표로 보고 있다. 북조선이 지속적으로 닉슨과의 협상과정과 관련된 기밀자료를 전달 받았다는 정보가 존재한다. 베이징에서 양국간의 대화를 통해 분명해진 점은 중국과 미국은 공동의 이해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소련의 개입 없이 아시아 및 다른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하는 의지를 확인했다는 점이다. 그[쿠르바토프]는 또한 닉슨의 방문에 대해 북조선과 베트남민주공화국이 서로 다르게 평가하고 있다는 점을 또한 지적하였다.

 

나는 쿠르바토프 동지의 발표에 대해 감사 인사를 전하고 닉슨 방문에 대한 우리 대사관의 평가를 다시 전달하였다.

 

참고: 중국과 미국의 [상하이] 코뮤니케의 내용과 북조선에서 발표한 내용을 비교해보면 몇가지 생략된 부분을 제외하고는 거의 누락된 내용 없이 대화가 원문 그대로 기록되었음을 알 수 있다. 누락된 사항은 첫번째 문단의 마지막 문장과 세번째, 마지막 문단의 “대한민국”이라는 단어이다.

 

 

브레즈네프 동지와 허담 외무상의 모스코바 회담

 

쿠르마토프 동지는 허담 동지가 쿠르마토프 동지에게 북조선이 앞으로 일본에 대해 새로운 입장을 취하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고 강조하였다. 여기에는 북조선에 대한 일본의 태도 변화가 새로운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브레즈네프 동지와 나누었던 대화의 또 다른 측면은 허담 동지가 유엔에 대해 언급한 부분이었다. 허담 동지가 전한 바에 의하면, 북조선은 소련과 다른 사회주의 국가들이 유엔에서 자신의 입장을 지지하고 방어해주기를 원하고 있다. 북조선은 중화인민공화국 역시 마찬가지로 북조선을 지지하고 나서주기를 기대하고 있다. 허담 동지는 나아가 유엔 내의 모든 사회주의 국가들이 중국과 같이 모두 합의되고 일치된 방법으로 행동하기를 낙관하는 입장을 계속해서 표명하였다.

 

[소련과 북조선이 방문에 대해 나눈] “공동 성명”에는 일본과 유엔에 대한 현안은 포함되지 않았다. 브레즈네프 동지는 일본에 대한 발표문을 듣고 유엔에 대한 사항은 면밀한 검토가 필요한 부분이라고 지적하였다.

 

쿠르마토프 동지는 나아가 현재 소련은 북측에 대한 남측의 공격을 배제하고 있음을 언급하였다.

 

허담은 북조선과 중국 간의 관계에 있어서 개선의 여지를 보았는데, 북조선이 소련 혹은 다른 사회주의국가와의 관계를 대가로 치르지 않으면서 이것을 이룩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이야기하였다. 나아가 허담은 [브레즈네프]와 나눈 대담에서 북조선이 소련 동지들과의 대화에서 표명한 입장을 중국에게 온전히 전달하겠노라고 언급하였다.

 

상당히 중요한 질문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브레즈네프-허담]간의 고위급 면담에서 정당간 관계 [조선로동당-소련공산당]에 대한 [북조선-소련] 양국간의 협의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향후 수다리코프 대사는 허담의 방문에 대해 보다 자세히 전할 예정이다.

 

 

공산주의 세계운동에서 조선로동당 활동에 대한 일부 관점들

 

서면 원고에 의거하여, 쿠르마토프 동지는 아래와 같은 의견을 남겼다:

 

1971년과 1972년, 조선로동당은 공산당과 노동당과의 관계를 지속해나갔다. 여러 정당의 정당대회에 참가하였고 대표부와의 교류에도 참여하였다. 그는 북조선으로 여러 정당들의 대표부를 초청하기도 하였다. 이전과 마찬가지로, 조선로동당은 정당과의 관계를 양자간의 교류를 기반으로 구축하였으며, 다자간의 협력관계에는 소극적이였다. 그들은 주체사상을 포괄적인 시스템으로 구축해 나가기 위한 노력을 더해 나갔으며, 김일성의 주체사상을 정당 활동의 유일한 사상기반이라고 선언하였다. 다섯번째 당대회는 공산주의의 발전과 모순되었지만 프티 부르주아(소시민)와 민족주의자들 사이로 뻗어나갔다. 이러한 민족주의적 경향과 중국과의 관계 강화는 공산주의 운동 및 조선로동당이 공산주의 및 사회주의 운동과 갖는 관계에도 부정적인 경향을 증폭시켰다. 조선로동당이 마르크스-레닌주의를 기반으로 개별 정당들과 관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함을 공식적으로 선언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국제 공산주의 운동의 활동가들에 의해 조선로동당은 스스로 마르크스-레닌주의와 민족주의적 주체사상 간의 모순을 형성하고,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는 “자주”와 “독립”과 모순을 초래하였다.

 

조선로동당 지도부는 공산주의 세계 운동에서의 경험을 인정하지 않고, 동료 정당들이 집단적으로 내린 결정들에 따르지도 않았다. 대신 그들은 김일성을 공산주의와 로동운동의 저명한 지도자로 추대하고 그를 혁명의 귀재로 찬양하였다. 조선로동당은 김일성이 “현재 국제 정세의 특징에 대한 현명한 분석을 제공”한 그의 업적을 자체 방침으로 삼았다. 그들에게 김일성은 “반제국주의적 힘에 대항하는 지도자”였으며, 김일성의 사상은 “제국주의의 종말을 가속화하고 전세계적 혁명을 승리로 이끄는” 힘이였다. 김일성의 업적과 해외 관료들과의 내부 회의에서 남겼던 그의 어록, 그리고 공식적으로 출판된 그의 연설문들에 의하면 김일성은 소련과 동료 공산주의 국가들에서 이룩한 공산주의와 사회주의의 건립과 그 성공에 대해 부정적인 의견과 입장을 취하고 있었다는 추측을 해볼 수 있다. 명시적으로 그는 북조선이 사회주의 이념을 구축해나가는 길을 “유일하게 정당하고 다른 국가들에게 모범적인” 것으로 보았다. 예를 들어, 스웨덴 공산주의 극좌 정당 대표단이 북조선에 방문하여 함께 대화를 나누었을 때 그는 소련공산당의 인민 국가 개발방안은 프롤레타리아 독재의 약화를 가져올 것이기 때문에 동의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표명한바 있다.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의 [국제] 4부의 부부장인 김영남은 김일성이 했던 말을 빌려 “공산주의가 종국적으로 범지구적으로 구축되기 이전까지는, 프롤레타리아가 권력을 쟁취한 개별 국가들은 국제 자본에 의한 제국주의의 침략과 자본주의의 부활의 위험을 좌시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김일성의 이념을 기반으로, 북조선의 선전은 현재 모든 정당들을 개인숭배, 프롤레타리아 독재, 계급투쟁 등과 같은 질문들에 대해 김일성의 입장과 동의하지 않는 수정주의의 지지 세력으로 규명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몇몇 사회주의 국가 대사관들은 북조선 내에서 왜곡된 ‘반-소련’정서가 발전할 것이라는 결론에 이르렀다.

 

이상의 사안들이 모두 논의되고 고려된바, 북조선 지도부가 표방하고 있는 통일과 공산주의 운동에 대한 친밀감은 본질적으로 선언적이며, 정직하지 못하며, 실용적 수단으로도 입증되지 못하였다. 이러한 경향은 조선로동당의 지도부가 전세계 공산주의 운동의 통합 보다는 이른바 아시아의 혁명적 인민통일전선으로 그 핵심(북조선, 중국, 베트남, 캄보디아, 라오스)을 구성하고 있음을 어느 때보다 분명하게 나타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의 계급적 지위에서 점차 멀어져 실용적 입장인 민족주의 노선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증명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북조선 내부의 선전은 “사회주의 국가들은 혁명의 정신을 잃었으며, 따라서 이들은 현재 혁명적인 사람들이 투쟁하는 물질적인 기반만을 마련해줄 수 있을 뿐이다”라는 주장을 펼치기 시작했다. 로동신문의 기사에는 이러한 대중 선전이 다소 수정된 형태로 나타나 “프롤레타리아 독재와 프롤레타리아 민주주의를 지켜내자”라고 등장했다.

 

혁명 국가들 중에서 이데올로기와 정치적으로 인접한 위치[북조선과 중국간 거리]를 바탕으로 조선로동당은 중국에 큰 신뢰를 가지고 있는데, 이로 미루어, 조선로동당은 중국과 정당간의 관계를 강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1971년 이래로 그들은 정당간 대표부 교류를 지속해왔다. 북조선의 선전은 중국 공산당의 이른바 9차 당대회의 “투쟁의 과업”을 환영하였으며, 소위 “문화 혁명”의 이행도 반겼다. 로동신문의 기사는 중국 공산당 50주년 기념일에  “문화혁명 이후, 중국공산당이 더욱 순수하고 강철같이 강한 정당이 되었다”라고 언급하며 축하하였다.

 

조선로동당은 중국과 계속해서 연락망을 구축하고 정보 교류책을 조직하였다. 북조선에서는 중국 신문인 홍치가 계속해서 유통되고 있다. 조선로동당 지도부는 자신들의 목표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중국 외교정책의 반-소련 경향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다. 당시 수단, 인도/파키스탄, 중동에서의 특정 사건들과 관련해 나타난 바와 같이, 그들은 중국과 보다 가까운 입장을 취했다.

 

최근 조선로동당은 알바니아 로동당과의 관계를 부쩍 활성화시켰다. 현재까지 북조선의 노력은 그들이 원하는 알바니아의 반응을 이끌어내지 못하였으며, 정부 수준에서 양국간의 관계를 작동시킨 것에 불과했다. 몇몇 중요한 기념 행사의 경우 그들은 전통과 우애의 관계를 강조하는 축하 메세지를 주고 받았다. 양국 관계의 가장 큰 발전은 루마니아 공산당이 민족주의의 기반 하에서 정당의 “자주”와 “독립”을 주창하였던 데에 있다. 조선로동당과 루마니아 공산당과의 교류는 1971년부터 양측간의 합의에 의하여 진행되었다.

 

1971년 조선로동당이 형제정당(불가리아, 체코슬로바키아, 몽골리아, 독일공산당, 폴란드, 소련)의 정당대회에 참여하였다는 사실이 양 정당간의 관계 개선을 가져온 것은 아니다. 조선로동당의 지도부는 이와 같은 모임을 세계 공산주의 운동의 선두에서 자신들이 점유하고 있는 특별한 위치를 선전하기 위한 연단으로 활용하였으며, 특히 양 정당간 관계에서 “자주”와 “독립”을 강조하는 기회가 되었다.

 

조선로동당 지도부는 형제정당과의 경험 및 기존의 대표단 교류방식에서 탈피하고 있다. 예를 들어, 양국간의 관련 협정에도 불구하고 1971년에는 해당 국가로 휴가를 떠난 당원이 전무했다. 조선로동당의 지도부는 1979년 [모스크바]에서 [국제 공산당 노동당 회의]에서 도출된 협정에서 벗어나는 정당들의 경향을 예의주시하였다. 1969년 모스크바 회의에서 일부 정당들(스웨덴, 스페인, 노르웨이, 이탈리아, 레위니옹)이 북조선으로의 방문을 추진했던 점은 어디까지나 우연에 불과하였다.

 

우리의 의견에 의하면, 자본주의 국가내 정당들과의 관계에 있어서 조선로동당의 지도부는 조선로동당의 정책에 의거하여 영향력을 행사하고 외교적 관계를 맺기 위한 수단으로 그들을 사용하려 했던 것으로 보인다. 우리는 이러한 점을 주의하여 관찰해야 하며 – 이것은 위험한 현상이다 – 조선로동당이 친-중국 분리주의 집단들과 관계를 구축하려고 시도할 수도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처음으로 태국의 공산당에서는 조선로동당에게 축하전보를 발송하였으며, 이는 중국의 입장과 정확히 일치하는 부분이다.

 

외국에서의 영향력을 강화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수단은 김일성이 이룩한 그의 근본 사상과 업적을 전파하고 선전하는 작업이다.  최근 그의 사상적 동지들에게 더 큰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는 특징이 발견된다. 그들은 공산주의자들을 포섭하여 집단을 보다 견고한 조직으로 만들려 시도하였다. 북조선 지도부는 국제 공산주의와 반-제국주의 조직 속으로 이데올로기를 투영시켜 토대를 보다 견고히 다지고자 하였다. 지금은 과거 그 어느때보다 김일성과 그의 성품을 찬양하는 전보가 많아지고 있다. 조선인들이 이와 같은 축하 전보와 메시지의 배후에 있는 사실은 숨겨지지 않는다. 다른 것들과 마찬가지로, 그들은 전세계가 김일성의 업적에 대해 연구하고 있음을 북조선 사람들이 믿도록 조작하고자 한다.

 

국가주의적 주체 사상에 몰두한 북조선 지도부는 이데올로기의 국제 보편적 성격과 해외로의 전파를 통해 국제 공산주의 세계 운동이 일어나고 있는 공산국들에게 전례없는 위험을 양산하고 있다. 이는 보다 면밀한 우리의 주의를 요하며, 조선로동당의 활동에 대해 우리가 어떻게 접근하고 대응해야 하는가에 관해 우리 정당들간 상의해야할 필요성을 높이고 있다.

 

나는 쿠르바토프 동지에게 그가 전해준 이야기에 대해 감사를 표했고, 국제 공산주의 운동에서 조선로동당의 활동에 대한 분석에 대해 동의하고 있음을 밝혔다.

 

 

주석

 

-중 관계가 대중에 공식적으로 노출된 부분은 프랑스 주재 중국대사관이 2월 25일 북조선의 “만수대” 앙상블의 프랑스 방문(1972년 2월 29일 전보내용)을 주선하였던 친교 행사와 같은 것임. 앙상블이 3월 8일 제네바에 도착했을 때, 그들은 중국 대사와 대사관 직원들로부터 환영 인사를 받았음. 같은 날 저녁, 중국 측은 앙상블의 영예로 제네바에서 리셉션을 열기도 하였음(1972년 3월 10일 전보내용).

 

 

4월 15일 김일성의 60번째 생일 행사 

 

우리 대화의 끝자락에, 쿠르바토프 동지는 독일민주공화국이 김일성에게 선물 또는 훈장을 수여할 계획이 있는지에 대해 물었다. 이것은 매우 문제적 발언이었으며 [소련] 대사관은 이 논의에 대해 아직 결론을 내리지 않고 있었다. 나는 여기서 그들이 축하 서한을 준비하고 있다는 사실밖에 알지 못하고 있음을 짚어 둔다. 내 개인적인 의견은 선물이 전달되어야 한다면 그 선물은 상징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대사관의 대외연락관(attaché)인 겐지케 동지 또한 이 대화에 참여하였다.

 

 

메르텐 부대사

 

 

참조

1x [외무부] 극동아시아과

1x 중앙위원회 제 4부

1x ZID [외무부 중앙정보서비스]

1x 대사관 정치부

 

[1]국제연합한국통일부흥위원회

During the conversation there was an exchange of opinions on the following questions: 1. The DPRK Position on the Nixon Visit to Beijing and its Influence on the Situation in Korea, 2. Conversation of Comrade Brezhnev with Foreign Minister Ho Dam in Moscow, 3. Some Aspects of KWP Activity in the Communist World Movement, 4. 60th Birthday of Kim Il Sung on 15 April

Author(s):


Document Information

Source

PolA AA, MfAA, C 1080/78. Obtained by Bernd Schaefer and translated by Karen Riechert.

Rights

The History and Public Policy Program welcomes reuse of Digital Archive materials for research and educational purposes. Some documents may be subject to copyright, which is retained by the rights holders in accordance with US and international copyright laws. When possible, rights holders have been contacted for permission to reproduce their materials.

To enquire about this document's rights status or request permission for commercial use, please contact the History and Public Policy Program at [email protected].

Original Uploaded Date

2011-11-20

Type

Note

Language

Record ID

110820

Donors

ROK Ministry of Unif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