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February 27, 1961

Cable from the Chinese Embassy in North Korea, 'New Developments in the South Korean People’s Struggle'

This document was made possible with support from ROK Ministry of Unification

[...]

 

New Developments in the South Korean People’s Struggle

 

To the [Chinese] Foreign Ministry

Copy: Military Intelligence Department

 

Since the beginning of this year, there have been new developments in the South Korean people’s struggle. The chief demands have been for self-directed national reunification, while at the same time massesfrom every class have further launched all sorts of specific struggles for the right to subsistence and democratic rights. South Koreans, who have long suffered cruel oppression and exploitation at the hands of imperialists, oppose the Jang Myeon-led government’s opening the door again to Japanese monopoly capital; especially recently, with opposition to the “Korea-U.S. Economic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Agreement”; [they] have combined opposition to U.S. invasion and the fight for self-directed national reunification.

 

South Korea’s self-directed national reunification movement developed and gathered steam following various suggestions by the Supreme People’s Assembly last November to advance the peaceful reunification of Korea. On January 15th of this year, the “Self-Directed National Reunification Central Committee” planning committee, formed late last year in Seoul by various South Korean political parties, social organizations and democracy activists for the self-directed national peaceful reunification of the South and North, passed and issued a “Reunification Declaration”, selecting 999 planning committee members, and by February 25 had already officially established the “Self-Directed National Reunification Central Committee” and passed a resolution to advance South-North contacts and communication.

 

The declaration and resolution emphasized the principle of independent national decision-making, maintaining that the international trend “is small, weak peoples winning independence one after another”; [that] “without economic independence, there is no political freedom; without political freedom, there is no national independence”, [that they] “absolutely cannot become a people dependent on foreign aid”, [and that they] “must break away from external forces”. This organization established planning organizations in many provinces and in Seoul, and for the past two months has continuously issued positions and actively launched activities; political parties and groups participating in this organization, including the People’s Socialist Partyand the Socialist Party, also successively issued statements. The “National Front for the Reunification of the Motherland”, established on January 9th, put forward slogans of “reunification first, [nation-] building later” and national self-determination, and denounced the “United Nations-supervised” elections as the same old principle of [foreign] aggression, without any practical results. Young adult students organized such groups as the “Nationwide Students’ Committee to Advance the Reunification of the Motherland” and the “National Reunification League”. The organizations, political parties, etc., described above, all demand that there be written exchange and economic and cultural communications between South and North, and preparations for holding South-North negotiations; they also put forward such propositions as setting up permanent establishments and post offices in the buffer zones, mutual dispatching of journalists and non-governmental inspection groups, and the South and North jointly organizing teams of contestants to participate in international sports contests.

 

The opinions expressed in some newspapers also condone South-North contacts. For example, the Korea Dailysays: “Trading South Korean grain for North Korean fertilizer and electric power is self-evident economic logic, as well as the way to restore villages, revive industry and ease unemployment.” The Busan Daily says: “[We] should try out South-North economic exchange, and seek in them the keys for reunification.” The Korea Daily feels that written exchange can be carried out immediately. There is also a flurry of discussion among the masses about such issues as South-North economic exchange. Jang Myeon, when speaking of these circumstances, said: “This street-corner clamor is like a dam bursting.” In its commentary, the Hapdong [sic] Press says that calls for reunification are the most resounding among young adult students; these calls have already “taken root and sprouted” not only in Seoul but in universities in such places as Daegu and Busan. Broadcasting stations in Seoul, Daegu, Mokpo and other places put forward such questions as, “What should we as a people do from this day forward?” and, “What are our wishes this New Year?”; the response of many students and masses is, “Reunification is the most urgent issue” and “I wish for the South and North to achieve reunification soon”.

 

A new defining characteristic of the South Korean people’s struggle is: The struggle of laboring masses, such as workers and peasants, is growing by the day. According to the pared-down figures issued by the authorities, from last August until the end of last year there were a total of 222 incidences of workers’ struggles demanding improved living [conditions] and democratic rights, more than an eightfold increase from the January – April [period] of last year. So far this year, organized dock workers and railroad workers have carried out relatively large-scale strikes and also supported each other; they have been successful in getting salaries raised. Peasants protested exploitative taxation and demanded the distribution of relief grain and reduction of irrigation fees. Fishermen demanded tax exemption for fishing industry-related petroleum use [and] the elimination of exploitative middleman organs. Meanwhile, the struggles of people from all classes cover a very broad scope. For example, the unemployed demand employment, the poor demand relief, laid-off government employees demand stipends, food and beverage industries protest puppet officials “eating for free”, disabled veterans have attacked thepuppet “Central Affairs Department of the Prime Minister’s Office”, and vast numbers of youth resist army conscription; struggles by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especially - for legal recognition of teachers’ unions and distribution of teacher stipends – are being launched everywhere, and have won the support of all political parties, social organizations and the masses. These specific struggles reflect [the fact] that some of the specific struggle slogans proposed by the Supreme People’s Assembly fit with the South Korean people’s immediate requirements. These struggles are mutually compatible with the fight for self-directed national reunification, and have increased the pressure on the Jang Myeon clique.

 

Opposing an invasion of Japanese monopoly capital is an inevitable reaction on the part of South Koreans demanding self-directed national reunification. The Jang Myeon clique’s plan to relieve current economic difficulties with Japanese capital has provoked fury and hatred of the Japanese in people from all walks of life. All political parties and such social organizations as the “Democratic Students’ League” have released statements in quick succession, condemning the Jang Myeon clique for betraying the nation’s interests and cursing Jang Myeon’s Cabinet as “the Yi Wan-yong Cabinet”. The “North Gyeongsang Committee to Oppose Japanese Economic Inspection Groups Entering the Country”, founded in Daegu, carried out a major demonstration with over 2,000 participants. The “Nationwide Congress Planning Committee for the Struggle Against Japan”, composed of over 50 community leaders including Kim Byeong-ro, opposes “bringing our longtime enemies the Japanese into South Korea”. The Jang Myeon government was forced to postpone the Japanese economic inspection team visits to South Korea indefinitely, bringing the preparatory talks between Chang and Japan to a standstill.

 

Anti-American sentiment and anti-American struggles among the South Korean people have been developing and growing more apparent by the day starting in the first six months of last year. At the end of last year, [groups composed] mainly of captains of industry and young adult students founded the “Committee for Advancing National Economic Self-Reliance” and the “Committee for the Struggle to Oppose America and [Gain] Economic Self-Reliance,” which opposed raising the U.S. dollar-Korean currency exchange rate, publicly exposing and opposing “American aid”. Within the first two months of this year, vast numbers of Korean workers employed by the U.S. Army demonstrated across the country, and over 3,000 hired-worker representatives from across the country gathered together to demonstrate at the gates of the U.S. embassy, demanding higher salaries and improved working conditions, and opposing prejudice against and exploitation of the [Korean] people. From January to February 1st, South Korea’s exchange rate with the U.S. dollar was raised twice, going from 650:1 to 1,300:1. This measure not only raised prices and industrial production costs, it also intensified U.S. control of the South Korean economy, causing extreme displeasure among people from all walks of life; it also aroused indignation in the puppet National Assembly. A strong wave of opposition rose quickly after the “Korea-U.S. Economic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Agreement” was signed on February 8th. The “Self-Directed National Reunification Central Committee” and all parties and organizations successively released statements, and all newspapers also gave strong criticism; it was unanimously felt that [this] agreement’s reaffirmation of all the promises in such military agreements as the “Korea-U.S. Mutual Defense Treaty” allowing U.S. representatives to conduct unlimited investigations of the relevant plans, activities and records, and giving diplomatic privileges, etc. to special delegation representatives dispatched by the U.S. constituted a humiliating and unfair agreement that insults the nation and deprives it of sovereignty. Seventeen political parties, including the People’s Socialist Party, collectively established the “Committee for the Shared Struggle Against the February 8th ‘Korea-U.S. Economic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Agreement’”, demanding that the sovereignty-infringing clauses be eliminated. This committee issued a statement condemning Jang Myeon’s “anti-national behavior of ignoring sovereignty”; [they] believe the new agreement will increase the United States’ economic enslavement of South Korea and its blatant interference in internal affairs, cause the national split to become permanent, and worsen starvation and poverty. Seoul University students and the masses from such places as Busan and Haeju held a gathering and stated that they would oppose it to the death. Seoul University students demonstrated at the gates of the U.S. embassy, shouting such slogans as “South Korea is not a U.S. concession” and, “The young lions of the April Revolution will once more stain Seoul’s streets with blood”, and also had clashes with police. The New People’s Party assemblymen among them said that the new agreement was similar to the 1905 treaty that betrayed the country to the Japanese. Many parties condemned the Jang Myeon clique as having committed a grave sin [against] the nation, demanding that the puppet National Assembly refuse to approve the agreement, demanding that Jang Myeon resign, and demanding the speedy conclusion of the U.S. army occupation agreement. At present this struggle is still continuing and developing.

 

The reasons that South Koreans’ demand for self-directed national reunification and struggle against the U.S. have gathered steam are: After taking office, Jang Myeon not only did nothing to improve the people’s predicament, [he] deepened the people’s tribulations and disappointments. Such things as most enterprises shutting down, the worsening decline of small and mid-sized industrial and commercial enterprises, the daily increase in the numbers of unemployed, people who have run out of food, and beggars, rising prices and social unrest, makes people feel, as Seoul’s KoreaUniversity professor Yi Chang-ryul puts it, “that all has gone pitch-black [with hopelessness]”. A number of the fantasies South Koreans cherished prior to overturning Syngman Rhee have been destroyed, and since last year distrust toward the Jang Myeon government has been openly expressed in local elections and speech. With education in real-world affairs, many people have become more aware that the American imperialists’ occupation and the Korean split are the source of their own poverty and suffering, and demanded that American imperialist control be cast off, placing [their] hopes on South-North reunification. North Korea’s propositions for alleviating the South Korean people’s predicament, its willingness to supply economic aid and to have written communications go back and forth, etc., as well as its immediate strong support for the South Korean people’s struggles, have also had a considerable effect.

 

South Koreans urgently demand a change in the current circumstances; their consciousness has been raised, and many different forms of struggle might easily break out. The Hapdong Press said in commenting on the South Korean situation: “It seems that this year will become one of carrying out intense struggle to achieve reunification.” Quite a few people speculate that the flames of struggle will likely be re-ignited in South Korea this April, and this is possible. Under U.S. directives, the Jang Myeon clique has already made arrangements for four ground force divisions, preparing to use them to suppress possible large-scale uprisings of the masses in Seoul and other places. But powerful, unifying, progressive leadership has not yet formed in the South Korean people’s struggle, and there remains room for improvement in the worker and peasant masses’ political struggle.The composition and membership, factional differences, and stated opinions among the reformist parties that more or less represent the nation’s intermediate stratum - the capitalist class, small and mid-sized industrial and commercial entrepreneurs, intellectuals, etc - are all very complicated; there is a side that reflects the people’s demands and opposes the U.S., and also a vacillating and anti-Communist side.For example, before the “Committee for Self-Directed National Reunification” was established, 30 permanent committee members and 253 planning committee members – including Seo Sang-il, Kim Seong-suk, and Jang Geon-sang - split off; [they] opposed relying on South-North negotiations to achieve reunification, and favored launching the so-called Perpetual Neutrality reunification movement. Young adult students are active in the struggle; there is also a portion that is being used by the ruling class. Those among all South Korean political parties and young adult students who advocate so-called neutral reunification take all sorts of different stands. Thus, the struggle’s development will continue to be complicated and tortuous.

 

[Chinese] Embassy in [North] Korea

February 27 [1961]

올해 초부터, 남조선 인민들의 투쟁에서 새로운 국면이 일어나고 있다. 민족자주 통일을 주로 요구하면서 동시에 모든 계급의 인민들이 생존권과 민주권에 대한 갖가지 종류의 구체적인 투쟁까지도 시작하기에 이른 것이다. 제국주의자들의 손아귀에서 무자비한 억압과 착취에 오랫동안 시달려온 남조선 인민들은 장면 총리내각이 일본의 독점 자본에 문호를 다시 개방하는 것을 반대한다. 특히 최근에는 ‘한미 경제기술원조협정’에 반대한다. 남조선인들은 미제 침략에 대한 반대와 민족자주 통일에 대한 투쟁을 함께 진행해 왔다.

 

남조선의 민족자주 통일 움직임은 조선의 평화로운 통일을 앞당기기 위해 최고인민회의가 지난 11월에 제안한 여러 제안 이후 발생하여 가속화되고 있다. 여러 남조선 정당, 사회단체, 민주주의 운동권들이 남조선과 북조선의 민족자주 평화적 통일을 위해 서울에 모여 작년 말에 결성한 ‘민족자주통일중앙협의회 발기준비위원회’가 올해 1월 15일에 ‘통일 선언’을 채택하고 발표하면서 999명의 준비위원을 정한 후, 2월 25일까지 공식적으로 ‘민족자주통일중앙협의회’를 설립하고 남북 접촉과 소통을 진행하자는 결의문을 통과시켰다.

 

통일선언과 결의문은 자주적인 의사결정의 원칙을 강조하면서 약한 소수 민족이 차례로 독립을 쟁취하는 것이 국제사회의 경향이며, ‘경제적인 독립 없이는 정치적인 자유가 없으며, 정치적인 자유 없이는 독립도 없다’는 것을 주장한다. 오히려 독립을 원하는 인민들은 절대 외국 원조에 의존하는 인민이 되어서는 안되며, 외세로부터 깨치고 나와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단체는 지방 여러 곳과 서울에 지부를 설립하고 지난 이 개월 동안 입장을 계속 발표하면서 적극적으로 활동을 시작하였다. 사회대중당과 사회당을 포함하여 이 조직에 참여하는 정당과 단체들 또한 연속하여 성명을 발표하였다. 1월 9일 결성된 조국통일국민전선당은 ‘통일 먼저, 조국 건설 나중에’라는 표어와 민족자주 결정에 관한 표어까지 내놓으면서 ‘유엔이 감시하는’ 선거를 외세 침략이라는 오래된 원리로 보면서 실제적인 결과를 내지 않는다고 비난한다. 젊은 청년 학생들은 ‘조국통일추진 전국학생위원회’와 ‘민족통일연맹’ 같은 모임을 결성하였다. 위에 기술한 단체들과 정당들은 서신교환과 남조선과 북조선 사이에 경제문화 소통, 남북 협상을 실행하기 위한 준비가 있어야 한다고 모두 주장한다. 또한, 이들은 완충 지역에 영구주거지와 우체국을 만들고, 기자들과 비정부 감시모임들을 상호 파견하며, 남조선과 북조선이 함께 국제스포츠경기에 참여하기 위해 공동팀을 만들자는 제의까지 내놓고 있다.

 

몇몇 신문사들 역시 남북 접촉을 용납하자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예를 들어 중앙일보는 ‘남조선의 식량을 북조선의 비료와 전기로 교환하는 것은 명백하게 경제 논리적이며, 마을 재건과 산업 부흥, 그리고 실업 해결의 방안이기도 하다’고 한다. 부산일보는 ‘우리는 남북 경제 교류를 시도하고, 그 과정에서 통일을 향한 실마리를 찾아야 한다’고 한다. 중앙일보는 서신교류는 즉시 이루어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인민들 사이에서 남북 경제 교류와 같은 문제에 관한 토론이 한바탕 진행되고 있다. 장면 총리는 이러한 상황에 대해 언급하면서, ‘이러한 길거리 소란이 마치 댐이 터진 것처럼 쏟아진다’고 말했다. 합동통신은 논평에서 통일을 향한 요구가 젊은 학생들 사이에서 가장 활발하며 이러한 요구는 이미 서울뿐 아니라 대구와 부산 등의 대학에 근거를 두고 자라고 있다고 평한다. 서울, 대구, 목포와 다른 지방에 있는 방송국은 ‘한민족으로서 앞으로 무엇을 해야 하나?’ ‘새해 우리의 소원은 무엇인가?’와 같은 설문을 하였고, 수많은 학생과 인민은 ‘통일이 가장 긴급한 문제이다’와 ‘나는 남한과 북한이 통일을 곧 이루었으면 좋겠다’고 답을 하였다.

 

남조선 인민들의 투쟁에서 새로운 결정적인 특징은 노동자, 농부와 같은 노동 인민들의 투쟁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는 것이다. 당국이 축소 발표한 수치에 의하면, 작년 8월부터 작년 말까지 노동자들이 생활 조건 향상과 민주권을 요구하면서 시위한 건수가 총 222건인데, 이는 작년 1월~4월 기간에 대비하여 8배나 늘어난 것이다. 올해는 부두 노동자와 철도 노동자가 조직적으로 꽤 큰 규모의 파업을 시행하였고 서로 연대하여 급여를 올리는 데 성공하였다. 농부들은 착취적인 세금부과에 항의하였고 구호 식량의 배분과 농로 사용료의 인하를 요구하였다. 어부들은 어업 관련 석유 사용에는 세금을 면제하고, 착취적인 중개인 기관을 없애 달라고 요구한다. 한편 모든 계급에서 인민 투쟁이 폭넓은 범위에 걸쳐 일어나고 있다. 예를 들어, 실업자들은 취업을, 빈곤층은 재정 보조금을, 실직한 공무원들은 연금을, 식음료 산업 사람들은 말단 공무원들의 ‘무료급식’에 반발한다. 상이군인들은 ‘국무총리실 중앙사무부’를 공격했으며, 많은 수의 젊은이들이 군대 징집에 반발한다. 국민학교와 중학교 선생들이, 특히 교직원 노조를 합법으로 인정받고 교직원 연금의 배분을 얻기 위해 곳곳에서 투쟁을 시작했으며, 정당, 사회단체와 인민들의 지지를 얻고 있다. 이러한 구체적인 투쟁은 최고인민회의가 제안한 특정 투쟁 구호 일부가 남조선 인민들의 직접적인 요구 사항과 일치한다는 것을 잘 보여준다. 이러한 투쟁은 자주 통일을 향한 투쟁과 상호 보완적이어서, 장면 정권에 점점 압박을 가하고 있다.

 

일본 독점 자본이 들어오는 것을 반대하는 것은 민족자주 통일을 요구하는 남조선 사람들 편에서는 당연한 반응이다. 현재 경제적 어려움을 일본 자본으로 해결하려는 장면 정권의 계획은 모든 계층의 인민들에게 분노를 샀고 일본에 대한 증오를 일으켰다. 정당과 ‘민주학생동맹’과 같은 사회단체 모두 잇달아 성명을 발표하면서 장면 일파가 국가의 이익을 배반하고 있다고 비난하면서 장면 내각을 ‘이완용 내각’이라고 악담을 퍼붓고 있다. 대구에 세워진 ‘일본경제시찰단 방문반대투쟁 경북 협의회’는 2,000여 명 이상이 모이는 대규모 시위를 했다. ‘반일투쟁 전국대회 준비위원회’는 김병로를 포함하여 사회지도층 인사 50명 이상으로 구성되어 ‘우리의 오래된 적인 일본 사람들을 남조선에 끌어들이는 것’을 반대한다. 장면 정부는 일본 경제시찰단이 남조선에 방문하는 것을 무기한 연기해야 했으며, 그 결과 장면과 일본 사이의 예비회담이 교착상태에 빠지게 되었다.

 

남조선 인민들 사이에 반미 감정과 반미 투쟁은 작년 첫 6개월부터 더욱 분명히 발생하고 자라왔다. 작년 말에 산업계 반장급 노동자와 젊은이들로 주로 구성된 단체들이 ‘민족경제자주 추진위원회’와 ‘반미 및 경제자주구축 투쟁위원회’를 구성하여 미국 달러 대비 한국 돈의 환율 인상에 반대하고 공공연히 미국의 원조를 폭로하여 반대했다. 올해 첫 2개월 동안, 미군에 고용된 수많은 수의 남조선 노동자들이 전국에 걸쳐 시위하였고, 3,000명 이상 대의원들이 전국에서 함께 모여 주한 미 대사관 정문에 모여 시위를 하면서, 급여 인상과 근무 조건 향상, 남조선 인민에 대한 편견과 착취 반대를 요구하였다. 1월부터 2월 1일까지 남한의 달러 대비 환율은 2배로 뛰어서 650:1에서 1,300:1로 올랐다. 이 조치로 물가와 공산품의 가격이 올랐으며, 미국의 남조선 경제 통제를 강화시켜 모든 계층의 인민들 사이에서 극심한 불만을 일으켰다. 또한, 허수아비 국회에 분노를 터졌다. 반대의 강력한 물결이 지난 2월 8일 체결된 ‘한미 경제기술원조협정’ 이후 즉각 일어났다. ‘민족자주통일중앙협의회’와 모든 정당과 단체는 잇달아 성명을 발표하고, 신문들 또한 모두 강력하게 비난을 가했다. 그 원인은 이 조약이 ‘한미 상호방위조약’과 같은 군사협정에서 맺은 기존 약속을 모두 다시 확약하여 미 사절단이 관련 계획과 활동, 기록을 제약 없이 조사하고, 미국에서 파견한 특별파견대표들에게 외교특권을 주는 따위의 모욕적이고 불공평한 조약이며, 이는 남조선에 모욕을 주고 주권을 뺏는 조약이라고 다들 공감을 했기 때문이다. 사회대중당을 포함한 17개 정당은 함께 ‘한미경제협정반대 공동투쟁위원회’를 설립하여 주권침해 조항을 폐지하라고 요구하였다. 이 위원회는 장면의 ‘주권을 무시하는 반민족행위’를 비난하는 성명을 발표하였다. 이들은 이 신규 협정으로 남조선의 미국 경제노예화와 미국의 노골적인 내정 간섭이 늘어나 국가의 분열이 영구화되고 기근과 가난을 더 심화시킬 것이라 생각한다. 서울대 학생들과 부산, 해주와 같은 곳에서 인민들이 모임을 열어 죽음을 불사한 투쟁을 계속할 것이라 천명하였다. 서울대 학생들은 미국 대사관 현관에서 시위하면서 ‘남한은 미국의 속국이 아니다’, ‘4월 혁명의 젊은 사자들이 또 한 번 서울 거리를 피로 물들일 것이다’는 구호를 외치며 다시 경찰과 충돌하였다. 이들 중 ‘신민당’ 일부 국회의원들은 새 조약이 나라를 일본에 팔아 넘긴 1905년 조약과 똑같다고 하며 반대하였다. 많은 정당이 장면 정권이 조국에 대하여 큰 죄를 저질렀으므로 허수아비 국회가 조약의 승인을 거부해야 하고, 장면은 사퇴하고, 미군주둔조약을 신속히 결론 지으라고 요구하였다. 현재 이러한 투쟁은 계속 지속되며 확대되고 있다.

 

남조선 인민들의 민족자주통일 요구와 반미투쟁의 강화 원인은, 장면 총리가 취임한 이후 인민들의 곤경을 해결할 만한 어떤 일도 하지 않았고, 오히려 인민들의 고난과 실망을 더욱 가중시켰다는 데에 있다. 예컨대 많은 회사가 문을 닫았고, 중소기업의 쇠퇴가 더욱 심화되었으며, 실업자, 굶주리는 자, 거지의 수가 날마다 증가하고, 물가가 오르며, 사회불안이 늘어나서 인민들은 서울대 교수 이창렬이 말한 것처럼 ‘모든 것이 희망 없이 암울해졌다’고 느끼게 되었다. 이승만 정권의 전복 전에 남조선인들이 꿈꾸던 많은 환상이 깨졌으며, 작년 이래로 장면 정부에 대한 불신이 공공연히 지방 선거와 연설에서 드러나고 있다. 실생활에 대한 교육으로, 많은 사람이 미 제국주의자들의 점령과 조선의 분단이 자신들의 가난과 고난의 근본 원인임을 더욱 깨닫게 되어 미 제국주의자들의 통제를 물리치고 남북통일에 희망을 걸자고 요구한다. 남조선 인민들의 고난을 줄여 주겠다는 북조선의 제안과, 경제원조를 제공하고 서신교류를 허용하겠다는 북조선의 의지 또한 남조선 인민들의 투쟁에 대한 강한 지지와 함께 꽤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남조선인들은 현 상황에 대해 변화를 절실히 요구하고 있다. 이들의 의식이 깨어나고 수많은 형태의 투쟁이 쉽게 일어나고 있다. 합동통신은 논평에서 남조선의 상황에 대해 ‘올해는 통일을 이루기 위한 강력한 투쟁을 실행하는 한 해가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꽤 많은 인민이 올 4월에 남조선에서 투쟁의 불꽃이 다시 살아날 것이라 예상하는데, 실제 이는 가능한 일이다. 미국의 지시 아래 장면 총리 정부는 벌써 육군 네 개 사단에 명령을 보내, 서울과 다른 지역에서 일어날 수 있는 대규모 폭동을 진압할 준비를 하라 지시하였다. 하지만 남조선 인민들의 투쟁에 강력하고 단결되었으며 진보적인 지도층이 아직 형성되지 않아, 노동자들과 농민들의 정치 투쟁에는 개선의 여지가 남아 있다. 어느 정도 중간층을 대표하는 – 자본주의 계급, 중소기업들, 지식인들 등 – 개혁주의 정당들은 당원 구성, 분파별 의견 차이, 공식 의견 등이 모두 아주 복잡하고 다양하며, 인민들의 요구를 반영하고 미국을 반대하는 측과 우유부단하고 반공적인 측이 모두 존재한다. 예를 들어, 민족자주통일 위원회’가 결성되기 전에 서상일, 김성숙, 장건상을 포함하는 30명의 상임위원과 253명의 준비위원이 분열하여, 통일을 이루기 위해 남북협상에 의존하는 것을 반대하고 소위 ‘영구 중립통일 운동’을 시작하는 것에 찬성했다. 젊은 학생들이 이러한 투쟁에 활발히 참여하는데, 지배 계급은 이를 이용하는 측면도 있다. 소위 중립통일을 지지하는 모든 남조선 정당과 학생들은 모든 종류의 투쟁에 반대 입장을 취한다. 그래서 투쟁의 전개가 계속하여 복잡해지고 많은 우여곡절을 겪게 될 것이다.

 

2월 27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주재 중국 대사관

 

The Chinese Embassy in North Korea describes the South Korean movements for the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Document Information

Source

PRC FMA 106-00581-02, 1-5. Translated by Anna Beth Keim.

Rights

The History and Public Policy Program welcomes reuse of Digital Archive materials for research and educational purposes. Some documents may be subject to copyright, which is retained by the rights holders in accordance with US and international copyright laws. When possible, rights holders have been contacted for permission to reproduce their materials.

To enquire about this document's rights status or request permission for commercial use, please contact the History and Public Policy Program at [email protected].

Original Uploaded Date

2011-11-20

Type

Report

Language

Record ID

113767

Donors

ROK Ministry of Unif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