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March 1, 1973

Telegram from Pyongyang to Bucharest, SECRET, No. 061072

This document was made possible with support from ROK Ministry of Unification

To: Direction II Relations

02/01476/3.III

 

Concerning the inter-Korean relations in the context of changes and contacts in the area, we inform:

 

Recently we are noticing from both sides the more precise formulation of views on the timing, the shape and purpose of mutual relations.

 

Via significant political comments recently published in the press, the DPRK has resumed the idea of political cooperation with the South, of economic collaboration, of establishing the Korean Confederation.

 

These proposals point to complex forms of collaboration, with political effects, as opposed to the limited South Korean view.

 

We consider that the renewal of these theses is the answer to the declarations of the South Korean Foreign Minister, who noted that, according to South Korea, relations have to start with addressing humanitarian aspects (making the object actually of contacts between Red Cross organizations) and follow into commercial exchange, and culminate at an advanced stage with free reciprocal visits as well as other forms of cooperation, including political ones.

 

Judging from the affirmations of certain functionaries in the Korean Ministry of Foreign Affairs, soon the phase of stagnation in North-South dialogue (December-February, when both parts were focusing on consolidating internal organizational and juridical measures, as well as on mutual observation) shall be overcome.

 

The 27 February Parliamentary elections in South Korea—the last stage of internal political stabilization—faces DPRK with one dialogue partner, namely Park Chung Hee. This is a significantly more difficult moment by comparison with 1972, when the political dispersal and disorganization in the South made it easier for the DPRK to apply its own unification view.

 

At the same time, diplomats from both parts have become more active in securing international support for their own position in the peninsula.

 

From the many actions launched abroad by the DPRK and South Korea in mid-February, we view as particularly significant the beginning of the Sino-American dialogue concerning U.S. troop withdrawals from Korea.

 

We consider that the main objective of the visit to Peking of the Minister for Foreign Affairs Heo Dam [Ho Tam] was supporting the Chinese initiative in conversations with H. Kissinger for withdrawal of U.S. troops from South Korea. The presence in Washington of South Korean Minister of Foreign Relations, Kim Yong-sik, was aimed at obtaining guarantees that the gradual withdrawal of American troops will happen only if the U. S. modernizes the South Korean army, according to the five-year-plan of economic and military assistance.

 

At the same time, visits of the DPRK’s party, government and parliamentary delegations are taking place in over 30 countries around the world. They have a mandate to express opinions concerning the reunification, to obtain support for it and to push for the isolation of South Korea to such an extent that “the latter will have to accept the proposals and line imposed by the North.”

 

The DPRK is facing difficulties in this activity: simultaneous measures from Seoul; the visit of Kim Yong-sik to Japan, to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to the UK, to the U.N., as well as other international contacts, including socialist countries.

 

Following the analysis of power balance in the peninsula and in order to maintain dialogue and ensure progress, we recommend a gradual approach to all issues, starting from common points of view which would allow for tackling more complex fields, including the political one.

 

Signed: Aurelian Lazar

 

수신: 제2관계국

 

02/01476/3.III

 

북남 간 교류 및 접촉의 맥락에서, 남북관계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사항을 알리고자 한다.

 

최근 들어 양측이 남북관계의 시기, 형태 및 목적에 관한 입장을 보다 구체화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최근 언론에 발표된 중대한 정치적 발언을 통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남조선과 정치적, 경제적으로 협력을 추진하고 북남국가연합을 수립하는 방안을 재개하고 나섰다.

 

이와 같은 북측의 제안은 정치에 영향을 미치는 복잡한 형태의 협력을 하자는 것인데, 이는 남측의 한정된 견해와는 대조적이다.

 

북측은 남측의 외교부장관 선언에 대한 응답으로 위와 같은 방안을 다시 들고 나온 것으로 사료된다. 남측 외교부장관은, 남측 입장에 따르자면 남북관계는 인도주의적 사안의 해결로 시작되어야 하며 (실직적인 목표는 적십자사 간의 접촉) 이어서 통상 교류를 진행하고 종국에는 자유로운 상호간의 방문 및 정치적 협력을 포함한 여타의 유형의 협력을 추진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한 바 있다.

 

남측 외교부 직원들의 전언으로 미루어 보아, 북남 간 대화의 침체기 (양측이 내부 조직ㆍ법률적 조치의 강화 및 상대방에 대한 관찰에 집중하던 12월~2월의 시기)는 곧 극복될 것으로 보인다.

 

2월 27일에 남조선에서 실시된 총선거 (내부 정치 안정화의 마지막 단계)의 결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박정희라는 단 한 명의 대화 상대와 마주하게 되었다. 이는 남조선 내부의 정치적 분열 및 혼란으로 인해 통일에 대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견해를 적용하기가 보다 수월했던 1972년 당시보다 훨씬 어려운 상황이다.

 

이와 동시에, 양측 외교관들은 한반도 내에서 자신들의 입장에 대한 국제 사회의 지지를 확보하기 위하여 더욱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2월 중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및 남조선이 해외에서 추진한 여러 활동으로 미루어보아, 우리는 주한미군의 철수에 관한 중·미 대화의 개시를 특히 매우 중요하게 여기고 있다.

 

우리의 견해로는, 허담 외무상이 북경을 방문한 주된 목적은 헨리 키신저와의 회담에서 언급된 주한미군 철수를 위한 중국의 계획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사료된다. 남조선 김용식 외교부장관이 워싱턴에 체류했던 목적은 경제·군사 원조 5개년 계획에 따라 미국이 남조선 군대를 현대화하는 작업을 이행하여야만 주한미군의 철수가 점진적으로 이루어질 것이라는 보장을 확보하기 위해서였다.

 

이와 동시에, 현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당·정부 및 의회 파견단이 전세계 30여 개국을 방문하고 있다. 그들은 통일에 관한 견해를 표출하고, 이를 위한 지지를 확보하고 "북측이 제시한 제안과 선을 후자(남측)가 수락할 수 밖에 없도록" 하는 정도로 남조선을 고립시키는 작업을 추진하라는 임무를 부여 받았다.

 

이와 같은 활동을 추진함에 있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서울이 동시적으로 취하고 있는 조치, 김용식 외교부장관에 의한 일본, 독일연방공화국, 영국 및 유엔 방문, 그리고 사회주의 국가들과의 접촉을 포함한 기타 국제적 접촉으로 인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한반도 내 세력의 균형을 분석한 결과에 따라, 그리고 대화를 유지하고 성과를 보장하기 위하여, 모든 사안에 있어 공통적인 견해에서 시작하여 정치 분야를 포함한 보다 복잡한 분야를 다루는 점진적인 접근법을 취할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

 

 

서명인: 아우렐리안 라자르[Aurelian Lazăr]

 

The document discusses the political strategies of the two Koreas' and their respective visions of unification. The author notes that North Korea is reaching out to the world to shore up support for Pyongyang's vision.


Document Information

Source

Romanian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rchives, Matter: 220/Year: 1973/Country: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The Ministry of External Affairs, CLASSIFICATION: SECRET, Department I Relations, Folder 1513, Vol. I, Concerning 1) External politics; 2) DPRK’s relations with other states, Period: 04.01 – 14.08.1973. Obtained and translated for NKIDP by Eliza Gheorghe.

Rights

The History and Public Policy Program welcomes reuse of Digital Archive materials for research and educational purposes. Some documents may be subject to copyright, which is retained by the rights holders in accordance with US and international copyright laws. When possible, rights holders have been contacted for permission to reproduce their materials.

To enquire about this document's rights status or request permission for commercial use, please contact the History and Public Policy Program at [email protected].

Original Uploaded Date

2012-05-17

Type

Message

Language

Record ID

114019

Original Classification

Secret

Donors

ROK Ministry of Unification and Leon Levy Found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