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October 19, 1972

Information concerning the First Conference of the Committee on Regulation of the Issue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and the Announcement of Martial Law in South Korea

This document was made possible with support from ROK Ministry of Unification

Information concerning: 1. The first conference of the co-chairs of the North-South Coordinating Committee, which was held on October 12th in the Panmunjeom area, and 2. The announcement of “martial law” in South Korea on the 17th this month. October 19, 1972

 

“For internal use”

 

Today, the ambassadors of the People’s Republic of Bulgaria, Hungary, Czechoslovakia, and Mongolia, as well as the acting [ambassadors] of Poland and the GDR were summoned to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where the Deputy Minister of Foreign Affairs, Kim Jae-bong [Kim Jae Bong], read the information, printed in advance in Korean, concerning the issues stated above.

 

He stated the following: “On October 12th, the first conference of the representatives of the North-South Coordination Committee was held, and on the 17th this month, Park Chung Hee declared martial law in South Korea. I asked for the present meeting with you in order to inform you on these issues.

 

First, I would like to discuss the issue of the first conference of the representatives of the North-South Coordination Committee.

 

It was held in Panmunjeom by South Korean request. From our side, because of Comrade Kim Yeong-ju [Kim Yong Ju]’s health condition, the second vice chair of the Cabinet of the Ministries, Comrade Pak Seong-cheol [Pak Song Chol] participated, and from South Korea—the Chief of the Central Intelligence Bureau—Lee Hu-rak.

 

The conference took place three months after the publication of the Joint Declaration of the North and the South on July 4th this year.

 

The Joint Declaration, based on the three principles of the beloved and respected leader Comrade Kim Il Sung, found warm response and support amongst the political parties and people of South Korea. Their aspirations for a peaceful reuniting of the motherland and the struggle against the fascist dictatorship, for the seizure of democratic rights and freedoms, grew stronger.

 

After the first, and especially after the second, round of the main negotiations between the delegations of the Red Cross, the feelings of respect towards the beloved and respected leader, Comrade Kim Il Sung, grew amongst the South Korean people. Kim Il Sung’s “Juche” ideas and the successes achieved in the socialist construction of the Northern part of the Republic spread quickly amongst the South Korean population.    

 

These changes in South Korea’s situation caused dismay and confusion among the American imperialists and the Japanese militarists.

 

The South Korean reactionaries, resorting to hypocrisy, in the conditions of the established relations between the North and the South, were the first to begin the campaign against us, speeding up the military preparations and increasing their anticommunist activities.

 

At the first conference we were able to expose this campaign, insisting on ending the attacks toward the DPRK and the anticommunist activities, in the conditions of the negotiations being carried out between us.

 

As we have already stated more than once, the dialogue between the North and the South and the struggle for the reunification of the motherland represents a struggle between patriots and traitors, a struggle between internationalism and servility, between progressivism and reactionism, between socialism and imperialism. In so far as the struggle for a peaceful reunification of the motherland is a class struggle, we sharply denounce the essence of the South Korean reaction.

 

At the conference, right after the greetings, the business work began with a speech by our representative—Comrade Pak Seong-cheol [Pak Song Chol].

 

In his speech he criticized sharply the fact that South Korea has not adhered to the obligations which it assumed with the Joint Declaration between the North and the South, in the period from July 4th until this very moment.

 

By pressing the other side, we exposed many facts pointing at when and what Park Chung Hee, Kim Jong-pil, and Lee Hu-rak have said separately. Our criticism at first did not please the South Korean representatives. Two questions were put forth by our side:

 

- Will we walk together towards a peaceful reunification, or will we talk against communism? If you want us to walk together, you need to give up your anticommunist campaign.

- If you do not give up the anticommunism, is there any sense for us to continue the dialogue?

Since our criticism was sharp and effective, Lee Hu-rak agreed with it.

 

He stated that he was doing everything possible to abide by the principles of the Joint Declaration, that he ordered the ending of the anticommunist campaign, but because of the extremely complicated system, it was hard for him to control the execution [of that order].

 

In answer, Comrade Pak Seong-cheol stated:

 

-“Fine, but here the issue is not what the common people say. This is being said by leaders such as Park Chung Hee and Kim Jong-pil. How should we understand this?” To which Lee Hu-rak  answered: that “he held no blame.”

- “You say that the UN is not a foreign power. Why do you think that?” asked Comrade Pak Seong-cheol.

- “Yes, the UN is not a foreign power!” – Lee Hurak emphasized again.

- “That means” – said Comrade Pak Seong-cheol – “that the American troops in South Korea standing under the UN flag are also not a foreign power. But the UN regulations forbid the placing of troops in foreign territories.”

- “If the issue is put forth so” – said Lee Hurak – “you are right.”

 

During the talks the following fact was cited by us:

“On the day of the 15th anniversary since the creation of the puppet army of South Korea, Park Chung Hee stated that he would fight for the reunification of the country on the basis of the free democracy. We take this to mean that this is trying to impress on us that the reunification has to occur on the basis of the imperialist order. Therefore, how should we interpret the principle “independent from differences in ideology, ideals and system? Doesn’t this mean anticommunism?”

 

To what was stated above, Lee Hu-rak answered that when he was writing Park Chung Hee’s speeches, he always excluded the words “on the basis of the free democracy” and that that was written by the journalists.

 

Wanting to transfer the blame from himself to others, he emphasized that he did not think this way.

 

Right away we criticized such activities, pointing out that it did not matter who wrote the speech, the essence of the issue is made up of the fact that Park Chung Hee says it.

 

“How can the dialogue between the North and the South continue,” asked Comrade Pak Seong-cheol, “if your leaders make such statements!”

 

Lee Hu-rak accepted our criticism, admitted his mistakes concerning the issues stated above, that “the UN was not a foreign power” and about the anticommunist statements, but he underlined that he was not responsible for Kim Jong-pil’s words.

 

Because Lee Hu-rak admitted his mistakes, we did not put forth other questions.

 

The South Korean side put forth the issue concerning the makeup of the Coordinating Committee, to which we answered that we had already given our proposals, but if the South Korean side had some comments, we are ready to discuss them.

 

The South Koreans proposed that the Committee be made up of 5 representatives from each country. We stated that we had nothing against such a proposal.

 

At the conference it was agreed that the specific issues on the makeup of the Coordinating Committee would be examined at the following conferences.

 

During the talks, Lee Hu-rak put forth the question “what is the system of confederation?” meaning, Comrade Kim Il Sung’s explanations.

 

Comrade Pak Seong-cheol answered that “the confederation foresees the creation of a high-ranking national committee made up of representatives from the North and the South for the preservation of the order that is in place in the two parts, which would act together on foreign and internal issues.”

 

“If the makeup of the Coordinating Committee is expanded,” asked Lee Hu-rak, “can it not lead to a confederation?”

To this question we answered that in the future this is possible, but the issues connected with the will of the masses need to be resolved on a democratic basis.

 

At the end, Lee Hu-rak stated that everything was clear to him and he asked that in the future we trust him, that we do not lead a war between us, that we exist together and that we develop the contacts for a peaceful reunification of the country.

At the conference it was agreed also that the following meetings of the leaders take place in Pyongyang and Seoul. It was decided that the second conference would take place on November 2nd in Pyongyang and the third—after November 20th this year in Seoul.

 

With this ended the first conference of the representatives of the Committee on the regulation of issues between the North and the South.

 

But on October 15th, through the direct telephone line, the South Korean side proposed a meeting between representatives for communication on October 16th.

 

Our representative met with the deputy representative of South Korea. As requested by Lee Hu-rak, the South Korean representative asked that the following be brought to the attention of Comrade Kim Yeong-ju:

 

“The reunification of the country has to occur at all costs during the leadership of Kim Il Sung and during the power of Park Chung Hee, meaning during the 70s.”

 

It was also underlined that during the first conference of the representatives, South Korean [representatives] did not understand well the critique expressed by us, but while listening to the recording of the conference, they understood everything, and they ascertained their rightness and reached the conclusion that on their part they need to undertake some measures.

 

Our representative was interested in what these “measures” were.

 

Then the South Korean representative said that Park Chung Hee and Lee Hu-rak desire the reunification of the country, but they had many opponents. That is why some measures were necessary for the establishment of order in the country. [He] stated that on October 17th a statement would be published, and he asked that it be listened to carefully on our part. He also asked, if we had comments on it, to present them to South Korea.

 

On October 17th, one hour before the publication of this statement, they informed us from Seoul by telephone that at 19 o’clock an “Emergency Statement” from Park Chung Hee would be released on the radio, and they asked that we listen to it. At the end they proposed a new meeting of the representatives for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North and South on October 18th.

 

With relation to the content of the statement, I think that the comrade ambassadors are acquainted with it and I will not pause.

 

The meeting proposed by South Korea took place yesterday—October 18th. The South Korean representative expressed Lee Hu-rak’s request that the following be released to Comrade Kim Yeong-ju:

 

“At the beginning of the 70s in the ambient setting of Korea some changes took place. The bipolar relations between the USSR and the USA changed. At the same time, changes took place also in relations between the USA, USSR, PRC and Japan. With these circumstances we consider that the national issue needs to be resolved independently, without the support of foreign powers. In this spirit was the Joint Declaration between the North and the South on July 4th this year.”

 

After the publication of the proclamation, in South Korea many groups sprung up, as opponents of its principles. Many of them are accusing us of breaking the Constitution. In spite of this, we wanted to adhere to the declaration’s obligations, but because of the strong opposition, we did not have the chance to fully control the situation. As a result of this we received Kim Yeong-ju’s critique. The present “State of National Emergency Statement” has as its goal—the modification of the Constitution.

 

The current Constitution was created on the basis of the bipolar system, in anticommunist spirit, without considering the issue of reunifying the country.”

 

The South Korean representative stated that for the “Emergency Statement” the USA and Japan were informed just two hours before its proclamation. They opposed it.

 

The South Korean representative also emphasized that in South Korea they have decided to institute the “Juche” system, in the spirit of the national self-determination, raised by the Prime Minister Kim Il Sung.

 

Although the USA and Japan were against the principles of independence in South Korea, they desired the creation of a new system.

 

After the South Korean representative was carefully listened to, our side put forth the question: Why was a state of emergency and martial law announced, why are you going towards a new system?

 

It was answered that due to the strong opposition, the internal issues in South Korea cannot be resolved along the normal path. That is why the South Korean leaders were forced to establish martial law in order to modify the Constitution without chaos and disorder in the country. He also added that in Park Chung Hee’s “State of National Emergency Statement” there were no points that affected or offended the DPRK. Again a request was made for expressing of our comments and proposals on the statement. It was underlined that there was a wide range of reactions in South Korea towards the statement and martial law. The right wing said that “these measures are aimed towards us,” others asked “where this statement is heading,” yet others [said]—“don’t these measures represent a retreat from the dialogue between the North and the South?” others said that “this is a procommunist coup,” and others [asked] “doesn’t this statement lead along the path towards right wing?” etc.

 

The South Korean representative stated that in the new proposed Constitution a clear fixation on the issues of the reunification of the country and the creation of a national assembly is expected, which would be able to guarantee the peaceful dialogue between the North and the South. He underlined that with the modification of the Constitution they aimed to “lead talks between the North and the South based on law.” “The changes of the Constitution, he stated, do not mean the repudiation of talks, on the contrary—their energizing.”

 

 He again requested, as ordered by Lee Hu-rak, that everything said by him be reported to Kim Yeong-ju.

 

The political committee of the CC of the KWP examined this issue, analyzed it, but has not yet come out with a final decision.

 

According to the facts at our disposal, it can be said that the situation in South Korea is very complicated.

 

After the announcement of the Joint Declaration between the North and the South on July 4th this year, the pursuit of a peaceful reunification quickly grew in South Korea.

 

The activity of the oppositionist parties became energized. Many activists appeared, raising their voices for reunification.

This brings dismay and scares the leading South Korean circles.

 

According to facts which we have, after the Joint Declaration, about 90 people, actively devoted to reunification, were arrested in South Korea.

 

There’s no question that the South Korean leaders are reactionaries, and that the South Korean economy goes through big hardships. The medium and small businesses are ruined. The yields in agriculture are also bad.

 

Currently, Park Chung Hee is putting into practice the movement “Saemaeul” /New village/, which greatly resembles Chiang Kai-shek’s old reforms in China and it has nothing in common with the movement in our country for the construction of cultural villages.

 

In South Korea the villagers are forced to build new villages. This leads to the springing up of new kulaks and corruption.

In this setting more and more desire and hope grow for a socialist order, sanctioned in the North part of the Republic. The population is very happy and actively struggles for the reunification.

 

The students’ spirits rose. Until the publication of the Joint Declaration, the student movement was at a standstill, but later it became active.

 

Park Chung Hee is most afraid of the actions of the masses and the students. And on this basis, after the establishment of martial law in the country, the activities of the parties were outlawed and the institutes were closed.

 

Why did Park Chung Hee announce martial law in the country?

 

We look at his goals in two instances.

 

The first instance can be reduced to the following: Park Chung Hee thinks that in the circumstances of established political contacts and the holding of political discussions, the emergence of other political parties is possible, which would also ask to take part in the dialogue between the North and the South. In the present moment the proportion in the talks is 1:1, but provided that another political party participates in them, the proportion would change in our favor to 2:1. That is why Park Chung Hee is trying to prohibit all political parties, in order to secure his long term stay in power and so that he can solely lead talks with us.

 

Park Chung Hee is afraid of the war and wants to lead the dialogue with the DPRK for a peaceful reunification, alone. And that is why, by announcing martial law, he says that a system needs to be created that would allow an active dialogue between the North and the South and a joint existence with us.

 

The second instance depends on the goal of receiving more credit from the USA and Japan. In words Park Chung Hee talks about “independence.” But what independence can he implement? Through martial law, he will ask for more loans from the USA and Japan.

 

As I already said, in the Political Committee of the CC of the KWP, the situation in South Korea was examined and analyzed. A final decision has not been made yet though.

 

Among other things, I would like to let you know that in the present moment Park Chung Hee is afraid even of his own army.

 

According to facts that we have, when he announced martial law, Park Chung Hee prohibited all flights of military airplanes. All members of the armed forces were prohibited to leave the military bases, and for those who were on home leave—to leave home. All movements of military divisions were also forbidden.

 

The question arises, what will our position be in connection to the situation that was created?

 

It is impossible for us to not undertake something because that would mean that we would be closing our eyes to the repressions of the South Korean population. If we are quiet, South Korea could turn into an anticommunist country.

 

In connection to the situation that was created, we foresee two measures:

 

First: An article with which to prove that the repressions taking place under the mask of the peaceful reunification are wrong. The article will clarify that the words “peaceful reunification” means the peaceful participation of very large circles of masses. The more people participate in this process, the better. That is why the suppression of the movement for a peaceful reunification is wrong.

 

Second: In the name of all the political parties and public organizations a statement will come out, condemning the prohibition of political parties in South Korea.

 

The union of students will also come out with a statement in connection to the closing of universities.

 

The materials will be in a discreet tone.

 

In Park Chung Hee’s statement there is an issue that deserves attention. He says that “these measures need to be approved at the referendum. But if the referendum is without success that will mean that the South Korean people do not want the dialogue between the North and the South. In that case, we will search for new measures for the reunification of the Motherland.”

 

At the end I ask you comrade ambassadors to bring to the knowledge of your party leadership the contents of this present information.”

 

Ambassador:

/Y. Georgiev/

 

Pyongyang 19 October 1972

 

Typed in three copies

1. for the CC of the Bulgarian Communist Party

2. for the Ministry

3. for the file

 

“대외비”

 

오늘 불가리아인민공화국, 헝가리, 체코슬로바키아, 몽골 대사 및 폴란드와 독일민주공화국의 임시대사 일행이 외무성에 소집되었는데, 이곳에서 외무성 부부장 김재봉은 위에 언급된 주제들에 관하여 미리 한글로 인쇄해 놓은 자료를 낭독하였다.

 

그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10월 12일, 남북간 쟁점들을 규정하기 위한 위원회 대표들간 제1차 회담이 개최되었으며, 이번달 12일 박정희는 남조선에 계엄령을 선포하였다. 나는 이러한 쟁점들에 대한 진실을 전달하기 위해 여러분들과의 만남을 제안하였다.

 

첫째, 나는 남북조절위원회 대표들간의 첫번째 회담의 주요 내용들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그 회담은 남조선의 제안으로 판문점에서 이루어졌다. 우리측에서는, 김영주 동지의 건강상태 때문에 의회 내 각 부의 제2부의장들과 박성철이 참여하였고, 남측에서는 중앙정보부장 이후락이 참석하였다.

 

이번 회담은 올해 7월 4일 북조선과 남조선간의 공동성명이 발표되고 석 달 후 개최된 것이다.

 

친애하고 존경하는 김일성 동지의 3대 원칙에 기반한 이번 공동성명은 남조선의 정치정당과 국민들간의 따뜻한 응답와 지지를 이끌어냈다. 조국의 평화로운 통일에 대한 그들의 열망과 파시즘 독재에 대한 저항은 민주적 권리와 자유의 수호 아래 더욱 강해지고 있었다.

 

적십자 대표단 본회담의 1차, 그리고 특히 2차 회의 이후, 남조선 인민들 사이에 김일성 동지에 대한 존경어린 마음과 애정이 확산되기 시작했다. 우리가 김일성의 “주체”사상과 조선내 공산주의 구축에 성공함에 따라 이러한 성과가 남조선 인민들 사이에 빠르게 퍼져나갔던 것이다

 

남조선 내부의 이러한 변화는 미국 제국주의자들와 일본의 군국주의자들에 대한 실망과 혼란으로 이어졌다

 

하지만 위선에 의존한 남조선의 반동분자(보수계층)는 남북간 관계 구축의 성과에도 불구하고 북에 대항하여 인민을 선동하는 운동을 시작하였고 군대를 정비하여 반공산주의 운동에 앞장서고 있다.

 

제1차 회담에서 우리는 이러한 운동을 언급하며, 북조선을 향한 공격을 중단하고 반공산주의 운동을 멈출 것을 요청하였으며, 이를 우리와의 협상을 지속하기 위한 조건으로 설정하였다.

 

우리가 여러 차례 언급하였던 바와 같이, 북조선과 남조선간의 대화와 조국의 통일을 이룩하기 위한 노력들은 애국자와 반역자간의 대립, 국제주의와 복종, 진보주의와 반동주의, 공산주의와 제국주의 간의 갈등을 대변하고 있다. 조국의 평화적 통일에 대해 존재하는 갈등이 계급간의 투쟁이라면, 우리는 남조선의 이같은 조치의 핵심을 맹렬히 비난하는 바이다.

 

회담에서, 인사말에 이어 우리측 대표인 박성철 동지가 연설을 통해 공무의 시작을 알렸다.

 

그는 연설을 통해 남조선이 7월 4일부터 현재까지 북조선과 공동성명에서 도출된 의무들을 모두 저버리고 있음을 강하게 비난하였다.

 

반대측을 압박하기 위해서 우리는 박정희, 김종필, 이후락이 언급한 사실들을 개별적으로 지적하였다. 남조선 대표단은 우리의 비판에 대해 만족하지 않았다. 우리는 두가지 질문을 던졌다:

 

- 우리는 평화적인 통일을 위해 함께 걸어갈 것인가, 아니면 당신들은 이같이 공산주의를 비난할 것인가? 당신들이 우리와 동반하기를 원한다면 반공산주의 운동을 즉각 중단해야만 한다.

 

- 만약 반공산주의를 포기하지 않는다면, 우리에게 대화를 지속할 어떤 이유가 남아있겠는가?

 

우리의 비판이 날카롭고 효과적이었기 때문에 이후락은 이에 동의하였다.

 

그는 그 자신은 공동성명에서 천명한 원칙들을 준수하기 위한 모든 노력들을 기울이고 있으며 반공산주의 운동을 중단하도록 명령하였지만, 사회체계의 복잡성으로 인해 [지시]에 따라 모든 것을 전면적으로 통제하는 것이 어렵다고 말했다.

 

이에 대한 답변으로 박성철이 말했다:

 

- 좋다. 그러나 지금의 논점은 일반 인민들이 하는 말들에 있지 않다. 우리가 비판하는 것은 박정희와 김종필과 같은 지도자들이 이를 언급했다는 사실이다. 우리가 이를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

 

여기에 이후락은 자신은 책임이 없다라고 대답했다.

 

- 당신은 유엔이 외세가 아니라고 주장한다. 왜 그렇게 생각하는가? 박성철 동지가 물었다.

 

- 그렇다, 유엔은 외세가 아니다! – 이후락은 이를 다시한번 강조하였다.

 

- 그 의미는 – 박성철 동지가 말을 이었다 – 유엔 깃발아래 남조선에 주둔하고 있는 미군 역시 외세가 아니라는 뜻이다. 하지만 유엔은 타국의 영토에 군부대가 주둔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 만약 이 문제를 그렇게 본다면 – 이후락이 말했다 – 당신이 옳다.”

 

우리들은 회담에서 아래의 사실들을 인용하였다:

 

남조선에서 괴뢰군이 창설된 지 15주년이 되는 날, 박정희는 자유민주주의를 기반으로 하는 조국의 통일을 위해 싸우겠다고 말했다. 우리는 이것을 제국주의의 방식하에 통일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천명함으로써 우리를 위협하려 한 시도로 이해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는 ‘이데올로기, 이상, 체계의 차이로부터 독립’이라는 원칙을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가? 이것은 반공산주의를 말하는 것이 아닌가?

 

위에서 언급된 바에 대해 이후락 자신은 항상 박정희의 연설문을 작성하면서 반드시 자유민주주의를 기반으로라는 단어를 제외시켰으나 그것은 신문기자들에 의해 쓰여진 것이라고 대답했다.

 

자신을 향한 책임을 피하길 원했던 그는, 자신은 결코 그렇게 생각하지 않고 있음을 다시 한번 강조하였다.

 

그는 즉시 이러한 사태를 비난하였으며, 여기서 중요한 것은 연설문을 누가 작성하였는지가 아니라, 박정희가 이를 말했다는 사실이 논란의 핵심이라고 지적하였다.

 

북과 남의 대화가 어떻게 이어질 수 있겠는가라고 박성철 동지가 물었다. 당신의 지도자가 이러한 진술을 계속한다면!

 

이후락은 우리의 비판을 받아들였고, 논란에 대해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였다. 유엔은 외세가 아니다라고 말한 것과 반공산주의에 대한 진술들이 자신의 실수였음을 인정하면서도, 자신은 김종필의 발언에 대해서는 책임이 없음을 강조하였다.

 

이후락이 그의 실수를 인정했기 때문에, 우리는 추가 질문을 하지 않았다.

 

남조선 측은 남북조절위원회의 창설에 대한 논란들을 제시하였으나, 우리는 이미 이에 대한 제안을 제공한 상태임을 주지하였다. 우리는 이에 대해 남측이 의견이 있다면 언제든 대화를 할 의향이 있다고 더했다.

 

남조선은 남과 북에서 각 다섯명의 대표단으로 위원회를 구성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우리는 이에 대해 반대할 이유가 전혀 없다고 대답하였다.

 

회담에서 조절위원회 구성과 같은 구체적인 사안들은 다음 회의에서 검토하기로 합의하였다.

 

대화중 이후락은 김일성 동지가 설명한 연방 체계는 무엇인가?라고 질문하였다.

 

박성철 동지는 연방이란 북측과 남측 대표단으로 구성된 고위급 국가위원회의 창설을 말하는 것이며, 이는 두 곳에 존재하고 있는 질서를 보존하여 국내외 문제들에 공동으로 대응할 수 있기 위함이다라고 대답했다.

 

만약 규제위원회가 보다 확대된다면 이후락은 물었다 이것이 연방으로 이어질 수 있지 않겠는가?

 

이 질문에 대해 우리는 향후 그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고 보지만 대중의 의지와 관련된 문제들은 민주적 방식을 기반으로 해결해야 한다고 대답했다.

 

마지막에 이후락은 자신에게는 모든 것이 분명해 졌으며, 우리가 전쟁을 원하지 않으며 함께 공존하고 조국의 평화적 통일을 위해 지속해서 교류의 길을 개발할 것임을 믿어 달라고 물었다.

 

회담에서 양측은 향후 평양과 서울에서 정상회담을 개최하는데 동의하였다. 두 번째 회담은 11월 2일 평양에서 개최하고, 세 번째 회담은 11월 20일 이후 올해 안에 서울에서 개최할 것을 결정하였다.

 

이것으로 남북조절위원회의 첫 번째 대표단 회의를 마쳤다.

 

하지만 10월 15일, 직통 전화선을 통해, 남조선 측은 10월 16일 대표단과의 대화를 위한 만남을 제안하였다.

 

우리 대표단은 남조선의 부 대표를 만났다. 이후락이 요청한 바와 같이, 남측 대표단은 김영주에게 다음의 메세지를 전해줄 수 있는지 물었다:

 

조국의 통일은 어떠한 대가를 치르더라도 박정희 대통령과 김일성 내각 수상이 권력을 갖고 있는 동안 그들의 통치 하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즉 1970년대에 이루어져야 한다

 

첫 번째 대표단 회의에서 남한의 [대표단]은 북측이 표한 비판의 내용을 이해하지 못했으나, 회의 녹음내용을 듣고서 사후에 온전히 이해하게 되었으며, 그 정당성에 대해 확신하였고, 그들의 입장에서 어떠한 조치가 필요하다는 결론에 이르렀음을 강조하였다.

 

우리 대표단은 조치가 무엇을 지칭하는지 물었다.

 

그러자 남조선 대표는 박정희와 이후락은 조국의 통일을 원하지만, 또한 그들에겐 많은 적이 있다고 말했다. 그것이 국가의 질서를 세우기 위한 조치가 필요한 이유라고 말했다. [그]는 10월 12일 어떠한 성명을 발표할 것이며, 이는 북측이 주의해서 들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한 북측이 이에 대한 의견이 있으면 남측에게 전달해 줄 것을 요청하였다.

 

10월 12일, 성명이 발표되기 한 시간 전, 그들은 서울로부터 전화 한 통을 받았고, 이를 통해 19시 박정희가 라디오를 통해 긴급 성명을 발표할 것이며, 북측이 이를 들어줄 것을 요청하였다. 마지막에 그들은 10월 18일 북과 남의 대화를 위해 또 다른 대표단 회의를 제안하였다.

 

이 설명의 내용과 관련하여, 대사 동지들은 숙지하고 있는 듯 했으며 나는 멈추지 않았다.

 

남측이 제안한 회의는 어제 – 10월 18일에 이루어졌다. 남측 대표는 다음의 내용을 김영주에게 전달해 달라는 이후락의 요청을 전하였다.

 

70년대 초반에는 한국 주위의 상황의 작은 변화들이 있었다. 양극화되어 있던 소련과 미국의 관계가 변했다. 동시에 미국, 소련, 중국과 일본의 관계도 변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는 국가의 현안들이 외세의 도움없이 독립적으로 해결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취지가 올해 7월 4일에 있었던 남북간 공동성명의 기반이 되었다고 생각한다.”

 

공동성명이 발표된 이후, 남조선에는 이러한 원칙들에 반대하는 다양한 조직들이 생겨났다. 그들의 대다수는 우리가 헌법을 위반하고 있다는 이유로 비난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공동성명에서 합의한 원칙들을 준수하고자 한다. 하지만 반대 세력으로 인해 우리는 상황을 완벽히 통제할 기회를 가지고 있지 않았고, 그 결과로 우리는 김영주로부터 비판을 받았다. 지금의 국가위기성명은 – 헌법을 수정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지금의 헌법은 양극화된 체계를 기반으로, 반공산주의 신념아래 국가의 통일에 대한 고려 없이 만들어진 것이다.”

 

남조선 대표는 긴급성명과 관련하여 발표 두 시간 전 미국과 일본에 알렸으며 그들은 이에 반대하였다고 말했다.

 

남조선 대표는 남측이 국가의 민족 자결권 정신에 입각하여, 김일성 주석이 구축한 주체 체제를 남조선에 도입하기로 결정했음을 강조하였다.

 

미국과 일본은 남조선의 독립원칙에 반대하는 입장이었으나, 새로운 체제 수립을 희망하였다.

 

남측 대표단의 이야기를 주의 깊게 들은 뒤, 우리는 다음의 질문을 건냈다: 왜 긴급성명과 계엄령이 발표된 것이며, 왜 새로운 체제로 이행하려 하는가?

 

이 질문에 남측은 강한 반대세력 때문이라고 답했고, 남조선 내부의 문제들은 정상적인 방법으로 해결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그것이 남측 지도자가 국가 내 극도의 혼란과 무질서 없이 헌법을 수정하기 위해 계엄령을 발표해야만 했던 이유라고 말했다. 그는 또한 박정희의 국가위기성명은 북한에 영향을 주거나 반대하는 아무런 내용도 들어있지 않다고 덧붙였다. 또다시 이 성명과 관련한 우리의 의견과 제안이 요청되었고, 남조선에서 이번 성명과 계엄령에 대해 거대한 반향이 일어나고 있다는 사실이 강조되었다. 우익 세력은 이러한 조치는 우리를 겨냥한 것이다라고 말했으며, 다른 이들은 이 조치는 누구를 향한 것인지를 물었으며 어떤 이들은 – 이러한 조치는 남북간 대화의 후퇴를 의미하는 것이 아닌가?라고 [말했다]. 다른 이들은 이것은 친공산주의 쿠데타이다라고 말했으며 다른 이들은 이 성명은 국가가 우익으로 향하고 있음을 보이는 것이 아닌가라고 [물었다].

 

남측 대표단은, 새롭게 제안된 헌법이 국가의 통일과 새로운 국회 창설에 대한 뚜렷한 의지를 담고 있으며, 남북간의 평화로운 대화를 보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하였다. 그는 헌법 개정을 통해 법에 의거한 북과 남의 대화를 이어나가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강조하였다. 그가 말하길, 헌법 개정은 대화의 거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그 반대로 북돋기 위한 것이다.”

 

그는 또다시, 이후락의 지시라는 말과 함께, 모든 내용을 김영주에게 보고해줄 것을 요청하였다.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의 정치위원회는 이 사안을 검토하였고 분석했으나 아직 최종 결론을 도출하지 못하였다.

 

우리가 관찰에 의하면, 남조선의 상황은 굉장한 복잡성을 띄고 있다.

 

올해 7월 4일 남북간 공동성명이 발표된 이후, 남조선내에 평화로운 통일을 추구하는 움직임이 확산되었다.

 

야당의 활동이 활발해졌으며, 많은 운동가들이 등장했고, 통일에 대한 목소리를 높이기 시작했다.

 

이것은 남측 지도부내에 상당한 충격과 위협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우리가 파악한 사실들에 의하면, 공동성명 이후 통일에 적극적으로 헌신하고자 한 약 90명이 남조선 내에서 구속되었다.

 

남조선 지도층이 반동분자임에는 의심이 여지가 없다. 또한 남조선의 경제가 큰 어려움을 겪고 있음도 분명하다. 중소사업장은 황폐화 되었고 농지의 상태도 형편 없다.

 

현재 박정희는 중국의 과거 장카이섹(장제스)의 개혁정책을 상단부분 모방한 새마을 운동을 실험하고자 하나, 이것은 우리나라가 문화지구를 건설하려는 움직임과 무관하다.

 

남조선의 마을들에는 강제적으로 재건축이 진행되고 있다. 이것은 새로운 군락을 만드는 대신 더 많은 부패를 양산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공화국 북측의 공산주의 질서에 대한 인민들의 열망과 소망을 갈수록 키워가고 있다. 인민들은 매우 행복하고 통일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학생들의 세력이 커져가고 있다. 공동성명 이전까지 학생운동은 주춤하고 있었으나 이는 갈수록 활발해져 가고 있다.

 

박정희는 무엇보다도 대중과 학생들의 운동을 가장 두려워하고 있다. 이것에 기반하여, 국가의 계엄령 선포 이후, 당정 활동들이 불법화되고 국회는 폐쇄되었다.

 

왜 박정희는 국가에 계엄령을 선포하였는가?

 

우리는 그의 목표를 두 가지로 바라본다.

 

첫 번째 경우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박정희는 현존하는 정치적 통로와 정치적 대화 상황에서 또 다른 새로운 정당이 부상하여 남북간 대화에 참여할지도 모른다고 생각한다. 현재 대화상황은 1:1이지만, 또다른 정당이 여기에 참여한다면, 우리에게 유리한 2:1 구도로 변할 수도 있다. 이것이 바로 박정희가 모든 정당활동을 금지하고자 하는 이유인데, 자신의 장기 집권과 권력장악을 도모하여 우리와의 대화를 전적으로 주도할 수 있기를 원하기 때문이다.

 

박정희는 전쟁을 두려워하고 평화적 통일을 위해, 단독으로 북한과 대화를 이어나가고자 한다. 이것이 바로 그가 계엄령 선포를 통해 유신 체계를 언급한 이유이며, 남북간의 공존을 위해 대화의 활성화를 이끌 수 있는 방법이라고 설명한 까닭이다.

 

두 번째 경우는 미국과 일본으로부터 더 많은 신뢰를 얻기 위함이다. 박정희는 독립에 대해 언급하였는데, 하지만 그가 어떠한 독립을 시행할 수 있다는 말인가? 계엄령을 통해, 그는 미국과 일본으로부터 더 많은 차관을 요구할 것이다.

 

내가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의 정치위원회에서 남조선의 상황을 분석하고 검토하고 있다. 최종 결론은 아직 도출되지 않았다.

 

다른 것들과 함께, 나는 지금 박정희가 자신의 군사세력마저 두려워하고 있음을 알리고자 한다.

 

우리가 파악한 사실에 의하면, 그가 계엄령을 발표할 당시 박정희는 군부대의 모든 비행을 금지하였다. 모든 군인력들은 부대를 떠나는 것이 금지되었으며, 휴가 중인 경우 – 자택을 떠나는 것을 금지하였다. 국방부의 모든 움직임도 금지되었다.

 

여기서 남는 의문은, 이러한 상황과 관련해 우리는 어떠한 입장을 취할 것인가? 하는 점이다.

 

우리가 어떠한 행동에도 착수하지 않는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것은 남조선 인구에게 자행되고 있는 탄압에 눈을 감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우리가 침묵한다면, 남조선은 반공산주의 국가가 되버릴 것이다.

 

지금의 상황에 비추어 보았을 때 우리는 두 가지 방안에 대해 예상해 볼 수 있다:

 

첫째: 평화통일이라는 가면을 쓰고 자행되고 있는 탄압이 잘못되었음을 증명하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평화통일이 모든 대중의 평화로운 참여를 의미한다는 점을 명시할 것이다. 이 과정에 더 많은 사람들이 참여할 수록 좋을 것이다. 그것이 바로 평화통일을 위한 운동의 탄압이 옳지 않은 이유이다.

 

둘째: 모든 정당과 공공단체의 이름으로 성명을 발표하여, 남조선에서 정당활동을 금지하고 있는 행태를 규탄하는 것이다.

 

학생연합도 나서서 폐쇄된 대학들과 관련된 성명을 발표할 것이다.

 

내용은 모두 신중한 어조로 발표될 것이다.

 

박정희의 성명 중에 주목해야 할 부분이 있다. 그는 이러한 조치는 국민투표를 통해 승인되어야 한다. 만약 국민투표에서 성공하지 못한다면, 남한 국민들은 현재 남북간의 대화를 원하지 않는 것이다. 그러한 경우, 우리는 모국의 통일을 위해 새로운 방법들을 모색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여기 동지 대사 분들에게 여기의 정보 내용들을 각국 정당의 지도부에게 전달해 주기를 요청하는 바이다.”

 

 

대사:

/Y. 게오르기예프/

 

 

평양, 1972년 10월 19일

 

 

총 3부 복사 전달됨

1. 불가리아 공산당 중앙위원회

2. 외무부

3. 보관용

 

Kim Jaebeon discusses the first conference of the co-chairs of the Committee on regulation of the issue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and the announcement of "martial law" in South Korea, deemed successful by the DPRK in its challenge against the South in regards to reunification and its anti-communist rhetoric.



Document Information

Source

Diplomatic Archive, Bulgarian Ministry of Foreign Affairs, Sofia. Record 28, File 1717. Pgs 33-40. Translated by Sveta Milusheva. Obtained by the Bulgarian Cold War Research Group.

Rights

The History and Public Policy Program welcomes reuse of Digital Archive materials for research and educational purposes. Some documents may be subject to copyright, which is retained by the rights holders in accordance with US and international copyright laws. When possible, rights holders have been contacted for permission to reproduce their materials.

To enquire about this document's rights status or request permission for commercial use, please contact the History and Public Policy Program at [email protected].

Original Uploaded Date

2011-11-20

Type

Information Note

Language

Record ID

113225

Donors

ROK Ministry of Unif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