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April 29, 1975

On the Visit of a DPRK Party and Government Delegation Headed by Kim Il Sung to the PR China from 18 to 26 April 1975

This document was made possible with support from ROK Ministry of Unification

[GDR Foreign Ministry]
Far Eastern Department
Berlin, 29 April 1975

 

On the Visit of a DPRK Party and Government Delegation Headed by Kim Il Sung to the PR China from 18 to 26 April 1975

 

A party and government delegation headed by the General Secretary of the Central Committee of the Korean Workers’ Party and President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Kim Il Sung, visited the PR [People‘s Republic] China from 18 to 26 April, 1975. The delegation consisted of high-ranking officials from the army and others concerned with foreign affairs and foreign trade.

 

The actual date of the visit was apparently decided on short notice based on the context of current developments in Cambodia and South Vietnam, although such a visit had certainly been in the making for a long time. This was Kim Il Sung’s first official visit [abroad] since he had visited the USSR and China in 1961 and Indonesia in 1965.

 

Kim Il Sung was received upon his arrival by the Deputy Chairman of the CCP Central Committee and Deputy Prime Minister, Deng Xiaoping, and by other members of the PRC party and state leadership. Shortly after his arrival Kim had a meeting with Mao Zedong and later met with Zhou Enlai at a hospital.

 

Intensive negotiations were conducted between the DPRK delegation and the PRC delegation headed by Deng Xiaoping. According to the Communiqué, “issues of further strengthening and expanding the fighting alliance and revolutionary unity between the two parties and states, as well as questions of the current international situation and problems of joint interest to both sides” were discussed in “a cordial atmosphere of revolutionary friendship.” A “complete agreement of positions” was reached on “all issues discussed,” which left “both sides completely satisfied.”

 

The main concern of the Korean side during this visit was to apparently coordinate its future policy towards South Korea with the PRC. Various indicators point to the direction that based on developments in Indochina, the DPRK leadership apparently made an assessment of how pressure placed on the United States might force them to give up their positions in South Korea. During his first public appearance in Beijing, Kim Il Sung accordingly made extremely aggressive statements on the liberation of South Korea. First he listed the well-known demands for the withdrawal of U.S. forces from South Korea: the ending of all American interference [in Korean affairs]; and for the overthrow of the Park Chung-hee regime in South Korea as preconditions for peaceful reunification without external force. Then he stated, among other things, that the DPRK will rush to offer assistance in the case of a “revolution” in South Korea. The Korean people “have only to lose a demarcation line but reunification to gain.” It is up the United States themselves “whether there will be a war in Korea or not.”

 

From the beginning, the Chinese side stated its support for the DPRK’s policy of peaceful reunification without foreign interference. The Chinese side demanded the withdrawal of U.S. forces and condemned the terror of the Park Chung-hee regime. It also declared that reunification must be achieved on the basis of the three principles outlined in 1972 by Kim Il Sung himself (peaceful, without foreign interference, establish national unity irrespectively of different ideologies and social systems) and the DPRK's Five-Point-Proposal of 1973 (détente, disarmament, rejection of the two-Korea policy , confederation etc.). The Chinese side expressed its preference for the continuation of dialogue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that began in 1972 but had been stagnant since mid-1973. This shows that the Chinese are presently not interested in the DPRK’s policy of confrontation with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which, due to the unstable situation in Korea, could easily lead to hard-to-calculate risks for the PR China and jeopardize the PRC's rapprochement with the U.S. and Japan.

 

In fact, the Communiqué unilaterally represents the position of the PR China. The three principles mentioned above and the Five-Point-Proposal are defined as “the correct path towards the solution of the question of Korea's reunification.” Still, Kim Il Sung's posturing during the end of the visit was much more moderate than at its beginning. However, it cannot be excluded that, during negotiations, joint foreign policy measures and steps were discussed in order to increase pressure on the United States.

 

The Chinese side intended for this visit to commit the DPRK and Kim Il Sung, based on their similar ideological and political outlines, as far as possible to anti-Soviet positions, to tie the DPRK even closer to China, and to steer it away from the community of socialist states. In particular, it might have done so because Kim Il Sung, according to yet unconfirmed information, is planning to accept the invitation from the USSR—pending for many years already—for a visit during the current year.

 

At the welcoming banquet Deng Xiaoping talked about “modern revisionism,” the “struggle of the superpowers for world hegemony,” and so on. Apparently due to Korean requests, the Chinese side did not undertake any direct name-calling attacks against the Soviet Union. Yet both sides strongly emphasized the “unbreakable friendship and closeness, sealed with blood, initiated by Mao Zedong and Kim Il Sung themselves”. The Communiqué states that this matches with the “basic interests of the Chinese and Korean people.” After praising the successes of the DPRK and its policy—whereby those aspects of DPRK policy of interest to the PR China are highlighted—the Korean side offers an extraordinarily enthusiastic praise of the PRC and Mao Zedong.

 

The Chinese side made massive attempts to influence the DPRK against the policies of détente as they are pursued by the Soviet Union and the other states of the socialist community. During the first day of the visit, Deng Xiaoping accused the “superpowers” of warmongering and declared that, “not the so-called irreversible process of détente, but the growing danger of a new global war is the predominant trend of our times.” Though the Communiqué defines the international situation in a favorable light for the revolutionary peoples and unfavorably for imperialism, the conclusion drawn from the crisis of imperialism is said to be the danger of a new global war.

 

While at the beginning of his visit Kim Il Sung still referred to a close connection between the struggle of the socialist states and the “third world” against imperialism, the Communiqué exclusively recognizes the “third world” as a power force in the global revolutionary process.

 

Materials published do not support the conclusion that there was complete agreement on all issues, despite that it was explicitly emphasized this way. To the contrary, both sides seem to have stuck to their positions. Aside from the South Korea issue, this also seems to apply to issues not mentioned in the Communiqué at all; for instance, the policy towards the Soviet Union and the other socialist states, but also policies towards U.S. imperialism and Japan.

 

Despite lengthy negotiations, the Communiqué does not contain any concrete results for bilateral relations (there also is no return invitation mentioned). However, one cannot exclude Chinese promises for further aid. This might in particular apply to arms and equipment, but also to economic aid given the precarious foreign trade situation of the DPRK (high obligations of debt towards both socialist and capitalist states).

 

Although Kim Il Sung was apparently unable to move the PRC towards a full and unconditional support for the DPRK's South Korea policy and more long-term differences in opinion remain, it is to be expected that this visit will further develop the already close party and state relations between the DPRK and the PR China.

[독일민주공화국 외교부]

 

극동부서

 

베를린, 1975년 4월 29일

 

 

"김일성 주석이 이끄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당 · 정부 파견단의 중화인민공화국 방문(1975년 4월 18일~4월 26일)에 관한 보고서"

 

김일성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총비서 및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주석이 이끄는 당 · 정부 파견단이 1975년 4월 18일에서 4월 26일까지의 기간 동안 중화인민공화국을 방문하였다. 파견단은 고위급 군 간부 및 외교 · 통상 분야와 관련된 인사들로 구성되었다.

 

방문을 위한 준비는 오랜 기간에 걸쳐 이루어졌지만, 실제 방문 일자는 캄보디아 및 남베트남의 현 상황의 맥락에서 급박하게 통보되었다. 이는 1961년의 소련 및 중국 방문, 그리고 1965년의 인도네시아 방문 이후 김일성 주석의 첫 공식적인 [외국] 방문이었다.

덩샤오핑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부의장 및 부총리를 비롯한 중화인민공화국 당 · 정부 지도부 당국자들이 김일성 주석을 맞이했다. 도착 후 김 주석은 마오쩌둥과 회동했으며 이후에는 한 병원에서 저우언라이와 회동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측 파견단과 덩샤오핑이 이끄는 중화인민공화국 측 파견단 간에 강도 높은 협상이 진행되었다. 공동 코뮈니케에 따르면, 양측은 "양측 정당 및 국가 간에 투쟁을 위한 동맹 및 혁명적 통일성을 더욱 강화하고 확장하는 문제, 현재의 국제적 상황에 관한 문제 및 양측의 공통적인 관심사"를 "혁명가적 우애를 바탕으로 우호적인 분위기"에서 의논하였다. 양측은 "논의한 모든 사안"에서 "완전한 입장의 일치"를 이루었으며, 그 결과 "양측 모두 전적으로 만족하였다."

 

방문 기간 동안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측의 주된 관심사는 향후 대남 정책을 중화인민공화국과 조정하는 일이었다. 여러 정황 상, 인도차이나에서의 상황 전개를 고려하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지도부는 미국에 대한 압박으로 남한에서 미국이 갖고 있는 지위를 포기하도록 할 수 있을지를 평가하였음이 분명하다. 베이징에서의 첫 공식 일정에서 김일성 주석은 남한의 해방에 대하여 매우 공격적인 발언을 하였다. 김 주석은 우선 이미 잘 알려진 대로 주한미군의 철수, [조선문제에 대한] 미국의 모든 개입 중단, 그리고 박정희 정권의 타도를 외부의 개입 없는 평화적인 통일의 전제조건으로 내걸었다. 그 후 김 주석은 남한에서 "혁명"이 일어날 경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즉시 지원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주석은 조선인들이 "잃을 것은 분계선뿐이며, 통일을 쟁취할 수 있을 것"이며, "조선에서 전쟁이 일어날 지의 여부"는 미국에게 달려 있다고 했다.

 

애초부터 중국 측은 외세의 개입 없는 평화적인 통일이라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방침에 대하여 지지를 표명했다. 중국 측은 주한미국의 철수를 요구했으며 박정희 정권의 테러행위를 비난했다. 또한 중국은 김일성 주석이 1972년 직접 천명한 3대 원칙 (평화적으로, 외세의 개입 없이, 이념 및 사회체계의 차이에 관계 없이 민족 통일을 이룩함) 및 1973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제안한 5도 제안 (데탕트, 무장해제, 두 개의 조선이라는 방침의 거부, 국가연합 등)을 기반으로 하여 통일을 이룩하여야 한다고 선언하였다. 중국 측은 1972년에 개시되었으나 1973년 중순 이후로 침체기에 접어든 북남 간의 대화를 지속하는 방안에 대한 지지를 표했다. 이는 미국 및 남측과 대결한다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방침에 중국이 현재로서는 관심을 두고 있지 않음을 보여준다. 현재 조선의 상황이 불안정하기 때문에, 미국 및 남측과의 대결이라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방침을 따르게 되면 중화인민공화국은 가늠하기 어려운 위험에 처하게 되고 미국 및 일본과 화해하려는 중화인민공화국의 노력 또한 위협받게 될 공산이 크다.

 

사실, 공동 코뮈니케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입장을 일방적으로 대변하고 있다. 상기에 명시된 3대 원칙 및 5대 제안은 "조선 통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올바른 길"이라 일컬어지고 있다. 방중 일정이 끝날 무렵 김일성 주석의 태도는 처음보다 훨씬 누그러져 있었다. 하지만 협상이 진행되는 동안 양측은 미국에 대한 압박을 강화하기 위해 공동의 외교정책 조치 및 계획을 논의하였다는 점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중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간의 유사한 이념적 및 정치적 입장, 그리고 반소비에트적 입장을 기반으로 하여, 중국 측은 김일성 주석 일행의 방중을 통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김 주석을 중국과 더욱 가깝게 만들고 사회주의 국가들로부터는 멀어지게 만들려는 의도를 갖고 있었다. 그 이유는 아마 (아직 미확인된 정보에 의하면) 김일성 주석이 올해 안에 (이미 몇 년 째 미결 중인) 소련 측의 초청을 수락할 계획을 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환영 연회에서 덩샤오핑은 "현대 수정주의" 및 "세계 패권을 장악하기 위한 세계 열강들의 투쟁" 등에 관해 언급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측의 요청에 따라, 중국 측은 소련에 대한 직접적인 비방은 하지 않았다. 그러나 양측은 "마오쩌둥과 김일성에 의해 시작된, 피로 맺어진 깨질 수 없는 우애와 결속"을 강조했다. 공동 코뮈니케는 이것이 "중국인과 조선인들의 기본적인 이해관계"와 부합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및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이행한 정책이 이뤄낸 성과를 칭찬 (이로써 중화인민공화국에게 이익이 되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책을 강조)한 후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측은 중화인민공화국 및 마오쩌둥에 대한 이례적인 찬사의 말을 전했다.

 

중국 측은 소련을 비롯한 사회주의 국가들이 추구하고 있는 데탕트 정책과 관련하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반대를 이끌어내기 위해 엄청난 노력을 기울였다. 김 주석의 방중 첫 날, 덩샤오핑은 전쟁을 도발하는 "초강대국"들을 비난했으며 "우리 시대의 대세는 소위 말하는 돌이킬 수 없는 데탕트의 과정이 아니라, 점차 증가하고 있는 새로운 세계대전의 위험성"이라고 말했다. 공동 코뮈니케는 국제사회의 상황이 혁명적 인민에게 유리하고 제국주의에게는 불리한 방향으로 전개되어 있다고 명시하고 있지만, 제국주의의 위기로부터 도출할 수 있는 결론은 새로운 세계대전의 위험성이 커지고 있다는 것이다.

 

방중 초기에 김일성 주석은 제국주의에 대한 사회주의 국가들과 "제3세계"의 투쟁 간의 긴밀한 연관성에 대해 언급한 바 있는데, 공동 코뮈니케는 "제3세계"를 세계 혁명화 과정에 있어서의 강력한 세력으로 인정하고 있다.

 

양측은 모든 사안에서 완전한 합의를 이루었다는 사실을 강조했지만, 발표된 자료를 통해서는 이러한 결론을 도출하기 어렵다. 오히려, 양측은 각자의 입장을 고수한 것으로 보인다. 남한에 관한 문제와는 별개로, 이는 공동 코뮈니케에는 전혀 언급되지 않은 사안, 예컨대 소련을 비롯한 사회주의 국가에 대한 정책, 그리고 미국 제국주의와 일본에 대한 정책과 같은 사안에도 적용되는 것으로 보인다.

 

양측은 오랜 시간 협상을 진행했지만, 공동 코뮈니케는 양자 관계에 관한 구체적인 결론을 전혀 명시하지 않고 있다 (답방 초청도 언급되지 않았다). 그러나 더 많은 지원을 제공하겠다는 중국 측의 약속을 간과할 수는 없다. 이는 무기 및 설비뿐 아니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위태로운 외교 통상 상황 (사회주의 및 자본주의 국가들에 대한 채무 변상 의무)을 고려했을 때 경제 원조에도 특히 적용될 수 있다.

 

김일성 주석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남정책을 전적이며 무조건적으로 지지하도록 중국 측을 움직이지는 못했다. 또한,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양측의 견해에는 여전히 차이점이 존재한다. 그러나 이번 김 주석의 방중으로 인하여 이미 긴밀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중화민주공화국 간의 당 · 정부 관계가 더욱 진전될 것으로 예상된다.

 

Report of the visit by DPRK officials to the PRC. This summary addresses the PRC’s and the DPRK’s relations with each other and their individual policies towards South Korea, it examines the issue of reunification and touches on the Sino-Soviet competition.



Document Information

Source

Political Archive of the Federal Foreign Office, Berlin (PolA AA), MfAA, 300/78. Translated for NKIDP by Bernd Schaefer.

Rights

The History and Public Policy Program welcomes reuse of Digital Archive materials for research and educational purposes. Some documents may be subject to copyright, which is retained by the rights holders in accordance with US and international copyright laws. When possible, rights holders have been contacted for permission to reproduce their materials.

To enquire about this document's rights status or request permission for commercial use, please contact the History and Public Policy Program at [email protected].

Original Uploaded Date

2012-05-18

Type

Cable

Language

Record ID

114124

Donors

ROK Ministry of Unification and Leon Levy Found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