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November 17, 1977

On Relations between DPRK and PRC

This document was made possible with support from ROK Ministry of Unification

GDR Embassy to the DPRK

Pyongyang, 17 November 1977

On Relations between DPRK and PRC

1.0 General Assessment and Interests

1.1 Since their foundation, both states, the DPRK and PRC, have developed friendly relations and close cooperation in various areas. Of major importance was the participation of Chinese volunteers to push back the imperialist aggression against the DPRK between 1950 and 1953 and their sacrifices committed during this undertaking.

The development of relations, however, was not continuous. With the beginning of the Cultural Revolution in the PRC during the mid-Sixties relations drastically worsened at times. Reasons for this were attempts by the Chinese leaders to interfere into internal matters of the DPRK and apply pressure in order to move the DPRK towards a broad acceptance of Maoist positions and principles. Only with [PRC Premier] Zhou Enlai’s visit to the DPRK in 1970 relations returned to normal, and they gradually improved until the current situation.

The most important event for building up relations in recent years was Kim Il Sung’s visit to the PRC in 1975. It was the first official foreign trip of Kim Il Sung for many years and opened a series of visits to other countries. In 1976 relations stagnated due to the volatile domestic situation in China and the resulting uncertainties of the DPRK. In addition, during the Kim Il Sung [1975] visit China had denied his request for supporting a military solution to the problem of Korean unification. Then promised economic aid turned out to fall well below DPRK expectations.

1.2 The DPRK interest in close and friendly relations with the PRC represents a long-term strategy. In its pursuit of such the DPRK is guided by the following factors and goals:

- Geographical proximity and a long common border (DPRK – PRC: 1,336 kilometers; DPRK – Soviet Union: 16 kilometers), as well as the political, economic and military potential of the PRC;

- Aspirations to secure the maximum political and, if necessary, military support of the PRC in the DPRK’s conflict with the U.S. and South Korea;

- Maintaining the strong DPRK economic ties to the PRC, in particular the major dependency of the DPRK on vital supplies (coke coal, coke, oil); as well as continuing DPRK efforts to receive economic, financial, and scientific-technological aid.

In addition, there are factors at work like the traditional ties between both Chinese and Korean peoples, the multi-year struggle by Korean partisans against the Japanese in Northeastern China, the important political-ideological influence by the CCP on the careers of leading Korean comrades in the 1930s, and the support of the DPRK for a united front of the “revolutionary peoples in Asia.”

1.3 The PRC also has a major interest in close relations with the DPRK. The latter belongs to the small number of states China can count to a certain extent as an ally. This carries some weight for China after the distancing by the Socialist People’s Republic of Albania, and in consideration of the development of Chinese-Vietnamese relations. Also the Chinese leadership is concerned about an improvement of relations between the DPRK on one hand and the Soviet Union and other socialist states on the other hand. For that reason the PRC currently undertakes major efforts to move the DPRK further away from the socialist fraternal states, or at least keep it in a “neutral” position in this regard. In the long run, the PRC has not changed its goal to include the DPRK in its big power chauvinist, anti-Soviet policy. Based on respective DPRK interests, the Chinese leadership uses the DPRK as its ally in the Non-Aligned Movement and towards developing countries, and it supports the DPRK in a focused way in its policy towards those states. Learning from the experiences during the “Cultural Revolution,” the PRC is acting in a sensitive manner to give the DPRK the feeling it is treated by China as an equal partner.

2.0. On Concurring Opinions and Positions

2.1 The basis for close relations between DPRK and PRC is the consent in, or closeness of, opinions of both parties on some basic ideological concepts, on methods of socialist construction, and on international politics. With some gradual differences only, this applies in particular to the following questions (though it is noteworthy that motives vary for certain positions of different kind):

- Definition of the character of the epoch, the main contradiction and the main forces in the course of the global revolutionary process;

- Overexposure of national specifics in the construction of socialism and actual negation of experiences made by the other socialist countries;

- Far-reaching turn away from the principles of proletarian internationalism;

- Overexposure of “independence” and “self-reliance” of the respective part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st Workers’ Movement and the socialist states, as well as efforts to establish special relations with those fraternal parties and socialist states that also emphasize in particular “independence” and “self-reliance;”

- Negation of role and function of the socialist community of states in current times and non-participation in collectively designed actions of the fraternal parties and the socialist states;

- The PRC is acting openly against Comecon and socialist economic integration, and the DPRK is extremely reserved against multilateral cooperation;

- The DPRK and PRC tout the “great-powers-theory” and stress the need for struggle against “hegemonism” (PRC) and “dominationism” (DPRK) (yet it is noteworthy that the DPRK apparently counts China as a “great power” and does not share at all the PRC position which considers the Soviet Union in its capacity as a “great power” to be the main enemy);

- Overexposure of the role of the Third World (there is no congruence of opinions as far as the “First and the Second World” are concerned);

- Positions on peaceful coexistence and the struggle for détente and disarmament (CSCE [Conference on Security and Co-operation in Europe], Mutual Balanced Forces Reduction negotiations in Vienna, collective security in Asia).

In general, it must be assessed that current KWP positions on basic theoretical and practical issues are closer to those of the CCP than to those of the Marxist-Leninist fraternal parties.

2.2 The DPRK does not approach the global confrontation of the damaging theories of Maoism, and the PRC’s anti-socialist and anti-Soviet policy, from a class-based position. The DPRK attempts to label these patterns as differences in opinion between the CPSU and CCP and between the USSR and PRC. Among else, this shows when the KWP calls the CCP a “Marxist-Leninist” party.

The DPRK does not endorse the open anti-Sovietism espoused by the Chinese leadership, yet it officially acts from a “neutral” position. In conversations with high-level representatives of other socialist fraternal states, Korean comrades voice criticism of the relentless anti-Soviet policy by the Chinese leadership, in particular as far as the characterization of the Soviet Union as “social-imperialism” and as “main enemy” is concerned. Based on its support for unity and closed ranks of socialist states, as well as looking at its own national interests, the DPRK wants to see a normalization of relations between the USSR and PRC.

3.0 On Differences in Opinions and Issues of Contention

There are some basic differences in interests, theoretical positions, and also in actual policy between the DPRK and PRC and their two respective parties. They might increasingly influence the relations between both sides.

3.1

- - In recent years, the DPRK apparently realized that the PRC does not sincerely support the DPRK struggle for the withdrawal of U.S. forces from South Korea. Instead the PRC regarded, in the context of its anti-Soviet policy, the American military presence in Asia as desirable (an implementation of the [current] U.S. withdrawal plans, however, would remove this contentious issue almost completely).

- Based on its anti-imperialist policy, the DPRK does not endorse the unprincipled collusion of the PRC with the U.S. and other imperialist powers in the pursuit of anti-Sovietism. In particular given the U.S. presence in South Korea, the DPRK follows these developments with mistrust.

- In contrast to the PRC, the DPRK cultivates friendly relations with the Soviet Union and other socialist states. The DPRK is interested to further develop these relations and their very beneficial cooperation.

- The DPRK does not endorse the splittist activities of the CCP in the International Communist Workers’ Movement and has no relations with Maoist splinter groups in third countries.

- There are also different opinions on policy towards Japan. The DPRK is concerned about Japan’s increasing militarization accompanied by the PRC’s silent tolerance. Thus the DPRK is very skeptical towards efforts by the PRC to conclude a friendship treaty with Japan.

In contrast to the PRC, the DPRK also argues against a security agreement between the U.S. and Japan.

- The DPRK does not share Chinese positions on NATO, but is right on target when condemning the latter as an aggressive military alliance of imperialist states.

- The PRC’s open support for the most reactionary forces of imperialism in the FRG is also not condoned by the DPRK. In spite of its reluctance to support GDR policy vis-à-vis the FRG, which is mostly based on the divergence of this policy with DPRK unification concepts [for Korea], the DPRK embraces in general a class-based position in its assessment of FRG imperialism.

- There are also other current international problems where positions of the DPRK are basically different from those of the PRC, and actually closer to those of the other socialist states. Such concerns, for instance, the cases of Chile, Angola and the assessment of roots of the Middle East conflict. The DPRK does not support the PRC in its condemnations of Soviet policy in Africa.

3.2 Furthermore there are some straight contrasts between the DPRK and PRC that directly affect the interests of both states:

- Claim to improve and develop Marxism-Leninism (“Maoism” – “Juche Ideology”); as the DPRK does not support “Maoism” in general, the PRC also denies its support to “Juche Ideology;”

- Claim for international leadership, in particular in the “Third World” (“Great Chairman Mao” – “Great Leader Kim Il Sung”);

- Territorial Issues (it is not known that the PRC officially confirmed Mount Baektusan, which is of special symbolic value to the DPRK, as part of DPRK territory; it is also said there are difference in opinions regarding the continental shelf in the Yellow Sea);

- Question of the Korean minority in the PRC (about 1 million citizens); the DPRK wants their autonomy which the Chinese leadership is not willing to grant;

- Apparently the PRC is no longer willing to tolerate the DPRK’s non-compliance with its export commitments, and has therefore moved in 1977 towards a calibration of its exports to the DPRK which hurts the DPRK economy considerably

4.0. On the Current State of Relations

4.1. At every occasion, the DPRK and PRC underline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parties, states and peoples and emphasize in particular that their friendship “was sealed with blood.”
Domestic events in the PRC in recent years, however, created complicated problems for the DPRK. Still, the latter supported all the important campaigns, beginning with the [1976] criticism of Deng Xiaoping (during Kim Il Sung’s visit to the PRC in 1975 Deng was his main partner!) and extending to the struggle against the “Gang of Four” (in September 1975 a CCP delegation led by Zhang Chungqiao had visited the DPRK and was also received by Kim Il Sung!).

From their side, the PRC also fully supports DPRK domestic policy, in particular everything related to the cult of personality.

Mutual propagandistic support in mass media is very extensive and based on the principle of reciprocity.

Since Mao Zedong’s death one can observe DPRK tendencies to become evasive in openly supporting the PRC foreign policy course or resort to very general statements, with the exception of the Taiwan question. Apparently the DPRK follows its own interests in the Non-Aligned Movement. It is also guided by the insight that Chinese foreign policy is compromised in the eyes of the peoples and its open support could be detrimental to the DPRK.

After Mao Zedong’s death, DPRK efforts became obvious to establish a profile as an equal partner and to follow a more independent line towards the PRC.

In contrast to the years before Mao’s death, in current publications of documents from the PRC, anti-Soviet passages are omitted (e.g. in Hua Guofeng’s speech at the XI Congress of the CCP). Here the DPRK exploited the [Chinese] temporary cessation of polemics [against the USSR].

The PRC still supports all tendencies of “independence” and “self-reliance” in DPRK foreign policy. Within the U.N. and other international organizations the PRC actively acts on behalf of the [absent] DPRK.

Yet also the PRC is refraining from unconditional support for DPRK foreign policy, especially when its own interests are directly at stake. So China reacted, for instance, very reserved towards the August 1976 Panmunjom Incident [“axe murders”] since the PRC is not interested in an escalation of tensions on the Korean peninsula.

4.2. In 1976 activities in bilateral relations were somewhat reduced in comparison to 1975. Only one important CCP party delegation visited the DPRK in late 1976. There was no exchange of representative delegations on the state level.

Overall, in 1976 there were 18 DPRK delegation visits to the PRC (1975: 17) and 12 Chinese delegations came to the DPRK (1975: 20). Exchange of those delegations focused on the fields of trade, scientific-technological cooperation, culture, and sports.

Apparently there are no contacts between mass organizations.

However, assessments of delegation exchanges must take into account that mutual delegation visits are not always made public. Thus exchanges might be much more extensive than it can be gleaned from the press.

In 1976, the following contractual agreements were signed:
- Agreement on Postal and Signal Communication
- Protocol about Navigation of Border Rivers

- Trade Protocol for 1976
- Plan for Cooperation of the Academies of Sciences for 1977/1978
- Protocol about Railway Border Traffic

In 1977, activities increased again in political, economic, military and cultural fields. Yet one can still feel a certain restraint in party relations.

Currently there also is a certain unknown number of PRC specialists in the economy and the military present on site in the DPRK.

After Mao Zedong’s death, Chinese literature was temporarily unavailable in the DPRK. Only recently the first four volumes of Mao Zedong’s works in Korean language have become available again. The fifth volume, which contains anti-Soviet outbursts and the claim of Mao Zedong being the “greatest Marxist-Leninist,” is not on sale.

4.3. Negotiations to conclude a new long-term trade agreement for the years between 1977 and 1981 and the trade protocol for 1977, concluded in March 1977, were tedious and complicated.

The PRC rejected the DPRK requests for credits. It only conceded to defer Korean debt repayments until 1980. New rates according to prices on the world market were established for oil and other resources. The long-term “Agreement about the Mutual Delivery of Important Goods for the Years 1977 to 1981” stipulated an increase of trade volume until 1981 by 12 percent. Yet in the 1977 trade protocol they agreed on a volume of 18 percent less compared to the 1977 numbers in the long-term 1977 to 1981 agreement. According to the annual protocol, the volume for 1977 is said to be 820 million Swiss francs, with DPRK exports to the PRC consisting of 420 million and Chinese exports to the DPRK of 400 million. These numbers are considerably lower than the plan for 1976 (975 million Swiss francs) that was fulfilled by the PRC to 86 percent and by the DPRK to only 52 percent.

The main features of the 1977 trade protocol are as follows:

DPRK Exports
- 2.0 to 2.2 million tons of anthracite
- 1.0 to 1.3 million tons of iron ore
- 140,000 tons of black metal products
- 80,000 tons of zinc
- 1,500 tractors
- 100 trucks (2.5 tons each)
- 500,000 tons of cement
- 1,000 lathes
- 5 million square meters of textiles

DPRK Imports:
- 2.2 to 2.5 million tons of coke coal
- 80,000 tons of coke
- 1 million tons of oil
- 200 trucks (4 tons each)
- 10,000 tons of railroad trucks
- 20,000 pairs of tires
- 170,000 tons of salt
- 30,000 tons of soy beans
- 10,000 tons of sugar
- 100,000 tons of fish

Since the DPRK also insufficiently meets its export commitments during 1977, the PRC has moved towards calibrating its own exports in order to achieve a somewhat balanced sheet.

4.4. The PRC Embassy in the DPRK is maintaining very active contacts to various organs of the DPRK. They are extremely eager, in the context of their activities, to avoid anything that could upset the Korean comrades. Special emphasis they put on highlighting equality [between PRC and DPRK].

There exists an agreement between the DPRK and PRC to not permit anti-Soviet attacks by Chinese representatives in the DPRK. In recent years the Chinese Embassy has violated these rules very rarely; thus there is no concern about this embassy within the diplomatic corps.

Chinese diplomats are treating representatives of other states in Pyongyang with correctness and politeness.

Contacts by embassies of the fraternal socialist states to the PRC Embassy are basically limited to official diplomatic events.

4.5. According to the Soviet comrades, the DPRK population has the feeling that DPRK-PRC relations are closer and better than DPRK-USSR relations. This is a result of intense reporting on the PRC in DPRK mass media and apparently of internal political-ideological education as well. Yet there exists also a lack of understanding in the population about internal developments in the PRC like, for instance, the open power struggles and the absence of a long-term prepared successor for Mao Zedong, as well as reservations towards some minor features of Chinese policy.

Overall and to major degree, the feelings of the Korean people are still highly influenced by the participation of Chinese volunteers in the fight against the U.S. and South Korean armies during the war between 1950 and 1953—though the DPRK officially commemorates this only for the occasion of certain bilateral events.

5.0. Conclusions

5.1. In principle, the DPRK will continue its policy of “balancing” between the Soviet Union and the fraternal socialist states on one hand, and the PRC on the other. This will not preclude certain tilts towards one side or the other based on pragmatic considerations.
Yet there is no reason to expect in any foreseeable time any substantial changes in relations between the DPRK and PRC.

5.2. The PRC will further undertake major efforts to draw the DPRK closer to China, and to counter developments of friendly relations by the DPRK with the Soviet Union and other socialist fraternal states.

Currently the policy of the Chinese leadership vis-à-vis the DPRK is pretending to bolster the DPRK in its overreaching efforts towards “independence” and “self-reliance.”

According to our opinion, the PRC will, however, not succeed in enlisting the DPRK for China’s anti-socialist and anti-Soviet policy. Actual interests and foundations of DPRK ideology and policy will not allow for this.

5.3. Since the death of Mao Zedong, the DPRK has sharpened its profile as an equal partner of the PRC and lessened to certain degree its tilt towards the PRC in the context of its “policy of balance.” Still, there will be a particular continuity in the future: The DPRK approach to certain international issues will take positions of the PRC into consideration.

Ourselves we must continue to monitor closely some recent indications for certain DPRK concerns regarding the PRC. Among other things, those might have been due to results of the recent China visit by U.S. Secretary of State [Cyrus] Vance and China’s cool reactions towards American measures concerning a planned withdrawal of U.S. forces from South Korea.

5.4. Differences in opinions and issues of contention, as listed above under 3.0, will increasingly influence relations between both states. Especially the strident anti-Soviet course of the Chinese leadership stands in contradiction to DPRK interests, North Korean notions of the enemy [U.S., not USSR], and DPRK goals to achieve unity and cohesiveness among the International Communist Workers’ Parties. Here we have some angles for our efforts to draw the DPRK closer towards the fraternal socialist parties. This makes it imperative for us to expose in appropriate ways, in particular by drawing on concrete examples, the character of the current Chinese leadership’s policy in internal talks with the Korean comrades at high, and at the highest, levels.


Steinhofer
Attache

CC:
- Central Committee, Department International Relations
- Foreign Ministry, Far Eastern Department
- Foreign Ministry, Main Department
- Embassy, Political Department

1.0 일반 평가 및 이해관계

 

1.1 건국이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중화인민공화국, 양 국은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다양한 방면에서 긴밀한 협력을 이루어 왔다. 특히 1950년에서 1953년 사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대한 제국주의의 공격에 대응하여 중국이 자발적으로 참여한 것과 이 과정에서 발생한 그들의 희생이 주목할 만 하다.

 

그러나 그들의 관계발전은 계속적이지는 않았다. 1960년대 중반 중화인민공화국의 문화혁명 시기, 그들의 관계는 때때로 눈에 띄게 악화되었다. 원인은 중국 지도자들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내부 문제에 간섭하려 하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하여금 마오주의 입장과 원칙을 널리 받아들이도록 압박한 데에 있었다. 1970년 [중화인민공화국 수상] 저우언라이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방문하고 나서야 관계가 점차 관계가 정상화되기 시작하여 현재의 상황에 이른 것이다.

 

최근 관계구축에 가장 중요한 사건은 1975년 김일성의 중화인민공화국 방문이었다. 이는 김일성의 최초 공식 해외방문이었으며, 이는 다른 국가 방문에 시발점이 되었다. 1976년 중국의 불안한 내부사정과 이로 인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불안정으로 인해 관계가 부진해졌다. 또한 김일성의 [1975년] 방문 중에도 중국은 김일성의 한국 통일문제 해결을 위한 대한 군사적 지원 요청을 거절한 바 있다. 당시 약속되었던 경제적 원조 또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기대치에 부응하지 못했다.

 

1.2 중화인민공화국과의 긴밀한 우호관계에 대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이해관계는 장기적인 전략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다음과 같은 요소와 목적에 따라 행동한다:

 

- 지리적 밀접성과 넓은 국경지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중화인민공화국: 1,336 킬로미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소련: 16 킬로미터), 및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 경제, 군사적 가능성;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미국 및 남한간의 갈등에 있어 중화인민공화국으로부터 최대의 정치적인 지원, 그리고 또한 가능하다면 군사적 지원을 확보하고자 하는 의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중화인민공화국 간의 강력한 경제적 관계 유지. 특히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주요 공급품 (석탄, 코크스, 석유) 의존과 경제, 재정, 과학기술 원조 유지.

 

그 밖에도 중국과 조선인 사이의 전통적 유대, 중국 북동부에서 수년간 계속되었던 조선 게릴라들의 항일투쟁, 1930년대 조선 지도층 동지들에게 중국공산당이 미친 정치-사상적 영향의 중요성, 그리고 “반동적 아시아인 연합전선에 대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지지 등 많은 요소가 작용한다.

 

1.3 중화인민공화국 또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의 긴밀한 관계에 큰 이해를 가지고 있다. 후자는 중국이 일종의 동맹국이라고 여길 수 있는 몇 안 되는 국가 중 하나에 해당한다. 이는 중국이 알바니아사회인민공화국과 관계를 소원이 함과 중국-베트남 관계를 감안할 때 어느 정도 중요하다. 또한 중국 지도층은 한편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의 관계 개선, 그리고 다른 한편에 소련 및 기타 사회주의 국가들과의 관계 개선을 염려하고 있다. 따라서 중화인민공화국은 현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사회주의 형제국들로부터 멀리 떨어트리거나 또는 최소한 그들을 “중립적 위치에 세우고자 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장기적으로 볼 때, 중화인민공화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그들의 국수주의적, 반소련주의 정책에 포함하고자 하는 목적을 고수한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이해를 고려하여, 중국 지도층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비동맹운동과 개도국에 대한 그들의 동맹국으로 삼고, 이러한 국가에 대한 중국의 정책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집중적으로 지원한다. “문화혁명에서의 경험에 비추어 중화인민공화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하여금 그들이 동등한 협력자라고 느낄 수 있도록 조심스레 행동하고 있다.

 

2.0. 동일한 의견 및 입장

 

2.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중화인민공화국의 밀접한 관계는 일부 기본 사상적 개념, 사회주의 건설과 국제 정치에 관련된 양측 당의 의견 일치 또는 의견의 근접에 기반한다. 일부 차이를 제외하면, 이는 다음과 같은 문제에 특히 적용된다 (그러나 때에 따라 특정 입장을 고수하는 동기가 다름에 주목할 것):

 

- 시대의 특성, 주요 모순과 세계혁명 과정에서의 주요 세력의 정의;

 

- 기타 사회주의 국가들이 주장하는 경험의 실제부정 및 사회주의 건설에서 나타난 국가 특징의 지나친 언급;

 

- 국제 프롤레타리아 원칙으로부터의 광범위한 변질;

 

- 국제공산주의노동자운동과 사회주의 국가에서 “독립과 “자주의 지나친 언급과 “독립, “자주를 특히 강조하는 형제당과 사회주의 국가와 특별한 관계를 설정하고자 하는 노력;

- 국가들의 사회주의 공동체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부정과 형제당 및 사회주의 국가들의 집단적 행동에의 불참;

 

- 중화인민공화국은 공개적으로 코메콘과 사회주의 경제통합에 반대되는 입장을 취하고 있으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다자협력에 극도로 소극적인 입장을 취함;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중화인민공화국은 “강대국론을 강조하며 “패권주의 (중화인민공화국)와 “지배주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대항한다 (그러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중국을 “강대국으로 여기며 소련의 “강대국 즉 그들의 주 적으로 여기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입장에는 동의하지 않음);

 

- 제3세계의 역할에 대한 지나친 언급 (“제1, 2세계에 대한 의견의 일치는 존재하지 않음);

 

- 평화로운 공존과 국가간 긴장완화 및 군축에 대한 입장 (유럽안전보장협력회의, 비엔나 상호균형병력삭감안[1], 아시아 공동안보).

 

즉 기본적인 이론 및 실용적 문제에 대한 현 조선로동당의 입장은 마르크스-레닌주의 형제당보다 중국공산당의 입장과 보다 가깝다고 평가할 수 있다.

 

2.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마오주의 이론에 대한 세계의 의견 대립과 중화인민공화국의 반사회주의, 반소련 정책을 계급주의적 입장에서 접근하지 않는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이를 소련공산당과 중국공산당, 그리고 소련과 중공 간의 의견 차이라고 정리하고자 한다. 이는 특히, 조선로동당이 중국공산당을 “마르크스-레닌주의 당이라고 부를 때에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중국 지도층이 공개적으로 옹호하는 반소련주의를 지지하지 않으며, 공식적으로 “중립적 입장을 취한다. 기타 사회주의 형제국가와의 고위급 회담에서 조선 동지들은 소련을 “사회제국주의, “주 적이라고 칭하는 중국 지도층의 끈질긴 반소련 정책을 비판하였다. 사회주의 국가들과의 결합과 가까운 관계를 지지하고, 그들 스스로의 국가 이해관계를 고려하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소련과 중화인민공화국의 관계 정상화를 희망한다.

 

3.0 이견 및 대립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중화인민공화국, 그리고 그들 각각의 당 사이에는 일부 기본적인 이해관계, 이론적 입장, 그리고 실질적 정책의 기본적인 차이가 존재한다. 이는 양자 관계에 점차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3.1

 

- 최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중화인민공화국이 남조선에서 미군을 철수시키고자 하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투쟁을 진심으로 지지하지는 않음을 분명히 인식한 것으로 보인다. 오히려 중화인민공화국은 그들의 반소련 정책에 비추어, 미군의 아시아 주재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였다 (그러나 [현재] 미군의 철수계획 실행은 이 문제를 거의 완전히 제거할 것임).

 

- 그들의 반제국주의 정책에 따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중화인민공화국이 반소련주의를 추구하기 위해 비원칙적으로 미국 또는 기타 제국주의 세력과 결탁하는 것을 지지하지 않는다. 특히 미국의 남조선 주둔을 감안하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이러한 전개를 [중국에 대한] 불신으로 간주한다.

 

- 중화인민공화국과는 달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소련 및 기타 사회주의 국가와 우호적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이러한 관계 진전과 이들을 유익한 협력으로 이끄는 데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국제공산주의로동자운동에서 보여지는 중국공산당의 분리주의적 활동을 지지하지 않으며 제3국의 마오주의 분리조직과 관계를 가지고 있지 않다.

 

- [두 국가는] 대 일본 정책에 대하여 각기 다른 의견을 가지고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일본의 군사주의 확대와 이에 대한 중화인민공화국의 묵인을 우려하고 있다. 따라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중화인민공화국이 일본과 우호적 협약을 체결하고자 노력하는 것에 대해 매우 비판적이다.

중화인민공화국과는 달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미국과 일본의 안보협약 체결에 대하여도 반대의 입장을 취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나토에 관해 중국의 입장에 동의하지는 않으나, 그들을 제국주의 국가들의 난폭한 군사동맹으로 비난하는 데에는 입장을 같이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중화인민공화국이 독일연방공화국의 가장 반동적인 제국주의 세력을 공개적으로 지지하는 것을 또한 용납하지 않는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그들의 [한국의] 통일에 대한 정책과 전혀 다른 독일민주공화국의 대 독일연방공화국 정책을 지지하는 것에 대해 서는 내켜 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독일연방공화국의 제국주의에 대해 계급기반의 입장을 취한다.

 

- 그 밖에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중화인민공화국은 다수의 국제문제에서 기본적인 입장의 차이를 보이며, 사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입장은 기타 사회주의 국가와 더 가깝다. 예를 들어 칠레, 앙골라와 중동에서의 갈등 원인에 대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소련의 대 아프리카 정책 비판에 동의하지 않는다.

 

3.2 또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중화인민공화국 사이에는 양국의 이해관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다수의 직접적인 의견차가 존재한다:

 

- 마르크스-레닌주의를 개선하고 발전시키고자 하는 주장 (“마오주의 – “주체사상);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마오주의를 지지하지 않음에 따라 중화인민공화국 또한 “주체사상을 지지하지 않음;

 

- 특히 “제3세계에 관련된 국제 지도력에 관한 주장 (“위대한 수상 마오 – “위대한 령도자 김일성);

 

- 영토 분쟁 (중화인민공화국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특별한 상징적 의미를 갖는 백두산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영토로 인정했는지 확인되지 않았음; 또한 황해의 대륙붕 문제에 대하여도 의견의 차이가 있다고 알려짐);

 

- 중화인민공화국내 조선 소수민족에 대한 문제 (약 백만 명);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자치권을 요구하며 중국 지도층은 이를 용인하려 하지 않음;

 

- 중화인민공화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수출 조약 불이행을 더 이상 방관하지 않고자 함이 분명하며, 이에 따라 1977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대한 수출 교정을 시작하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경제에 큰 피해를 입혔다.

 

4.0. 현재 양국 관계

 

4.1. 기회가 있을 때 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중화인민공화국은 당과 국가, 그리고 인민들 사이의 친밀한 관계를 강조하며, 특히 그들의 친선이 “피로 맺어졌음을 강조한다.

 

최근 중화인민공화국내의 사건들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복잡한 문제를 만들어냈다. 그러나 조선민주주의공화국은 [1976년] 덩샤오핑 비판(1975년 김일성의 중화인민공화국 방문에서 덩샤오핑은 그의 주 협력자였음!)을 시작으로 “사인방에 대한 투쟁(1975년 9월, 장준차오가 이끈 중국공산당 대표단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방문한 바 있으며 김일성이 이들을 맞이했음!)까지 모든 중요한 선전을 지지해왔다.

 

그들의 입장에서 중화인민공화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내정책, 특히 개인 숭배에 관한 모든 것을 완전히 지지한다.

 

대중매체에서 상호간의 선전 지지는 매우 광범위하며 호혜의 원칙에 기반한다.

 

마오쩌둥의 사망 이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대만 문제를 제외한 중화인민공화국의 외교 정책에 대해 다소 누그러진 공개적 지지를 나타내거나 일반적인 언급에 그치는 듯한 경향이 나타났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분명 비동맹운동에서 그들의 이해관계에 따를 것이나 중국의 외교정책은 인민들의 눈에의 타협되어 이에 대한 지지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치명적일 수 있다는 통찰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난다.

 

마오쩌둥의 사망 이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중화인민공화국에 평등한 협력자로써 보다 독립적인 노선을 취하고자 노력하는 것이 분명해졌다.

 

마오쩌둥 사망 이전과 비교하면, 중화인민공화국의 최근 문서에는 반소련 문구가 생략되어 있다(즉, 중국공산당 제11차 당대회에서 화궈펑의 연설). 여기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중국의] [소련에 대한] 일시적인 논쟁 중단을 활용하였다.

 

중화인민공화국은 여전히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외교 정책에서 “독립과 “자주 경향을 지지한다. 유엔과 국제기구에서 중화인민공화국은 [부재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신 활발한 활동을 펼친다.

 

그러나 여전히 중화인민공화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외교 정책을 무조건적으로 지지하고 있지는 않다. 특히 그들의 이해관계가 직접 관련이 되는 경우 그렇다. 따라서 중국은 1976년 8월 판문점 사건 [“도끼 살인]시 매우 조심스럽게 행동하여 중화인민공화국이 한반도에서의 긴장 고조에는 관심이 없음을 나타냈다.

 

4.2. 1976년 양자관계 활동은 1975년에 비해 다소 감소하였다. 1976년 말 오직 1개의 중요한 중국공산당 대표단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방문했을 뿐 국가 단위에서 대표단 교환이 없었다.

 

전반적으로 1976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표단이 18차례 중화인민공화국을 방문했고(1975년: 17회) 중국 대표단이 12차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1975년: 20회)을 방문했다. 이러한 대표단 교환은 무역, 과학기술 협력, 문화, 그리고 스포츠에 관한 것이었다.

 

대규모 조직 간에는 분명 접촉이 없었다.

 

그러나 대표단의 교환은 상호 대표단 방문이 항상 공개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사실을 감안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교환은 언론에 나타난 것 보다 훨씬 집중적이었을 수 있다.

 

1976년 다음과 같은 협약이 체결되었다:

 

- 체신 통신 협약

 

- 강변 국경의 정찰에 대한 협약

 

- 1976년 무역 협약

 

- 1977년, 1978년 과학대학 협력 계획

 

- 철도 국경의 협약

 

1977년 정치, 경제, 군사 및 문화 분야에서 활동이 다시 증가하였다. 그러나 당 관계에서는 여전히 어느 정도의 긴장감을 느낄 수 있었다.

 

현재에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는 알려지지 않은 수의 중화인민공화국 경제 및 군사 전문가가 주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마오쩌둥 사망 이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일시적으로 중국 서적이 금지되었다. 최근이 되어서야 조선어로 된 마오쩌둥의 저서 첫 4권이 공개되었다. 반소련 내용이 대폭적으로 담겨있으며 마오쩌둥을 “위대한 마르크스-레닌주의자라고 일컫는 다섯 번째 저서는 현재 판매되고 있지 않다.

 

4.3. 1977년과 1981년 사이의 장기 무역 협약과 1977년 무역 협약을 체결하기 위한 협상은 느릿하고 복잡한 협상 끝에 1977년 3월에야 체결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융자 신청을 거절하고, 한국의 채무상환을 1980년까지 연장하며, 석유와 기타 자원에 대하여 세계 시장의 신규 요율을 적용하도록 했다. “1977~1981년 주요물자의 상호전달 장기 협약은 1981년까지 무역 물자를 12 퍼센트 증가시키도록 하였다. 그러나 1977년 무역 협약에서, 그들은 1977~1981년 장기협약의 1977년 수치에서 18 퍼센트 감소한 물량[거래]에 합의했다.  연간 협약에 의하면 1977년 물량은 스위스 프랑으로 820 백만에 달하는데, 이 중 420 백만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중화인민공화국으로의 수출이었으며, 400 백만이 중국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의 수출이었다. 이 수치는 1976년 계획에 비견했을 때 월등히 낮았으며(975 백만 스위스 프랑), 이 중 중화인민공화국은 86 퍼센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겨우 52 퍼센트를 충족하였다.

 

1977년 무역 협약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았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수출:

 

- 무연탄 2.0~2.2백만 톤

 

- 철광석 1.0~1.3백만 톤

 

- 흑금속(black metal) 제품 140,000톤

 

- 아연 80,000톤

 

- 트랙터 1,500대

 

- 트럭 100대 (각 2.5톤)

 

- 시멘트 500,000톤

 

- (공작)선반 1,000개

 

- 직물 5백만 제곱미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수입:

 

- 석탄 2.2~2.5백만 톤

 

- 코크스 80,000톤

 

- 석유 1백만 톤

 

- 트럭 200대 (각 4톤)

 

- 철도용 트럭 10,000톤

 

- 타이어 20,000짝

 

- 소금 170,000톤

 

- 대두 30,000톤

 

- 설탕 10,000톤

 

- 생선 100,000톤

 

1977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수출물량 약정을 맞추지 못하자 중화인민공화국 균형을 어느 정도 맞추기 위해 그들 스스로 수출 물량을 조절하였다.

 

4.4.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중화인민공화국 대사관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다양한 조직과 매우 활발한 접촉을 유지하고 있다. 이들은 추구하는 활동과 관련해 조선 동지들을 불쾌하게 할 수 있는 모든 행동을 방지하고자 매우 애쓰고 있다. 그들은 [중화인민공화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이의 평등 강조에 특히 힘썼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중화인민공화국 사이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주재 중국 대표단의 반소련 공격을 허용하지 않는다는 조약이 있다. 최근 중국 대사관은 이 규칙을 아주 간간히 위반하였다; 따라서 대사관 무리 중 이들에 대한 우려는 존재하지 않는다.

중국 외교관들은 평양 주재 기타 국 대표단을 단정과 정중함으로 대하고 있다.

 

중화인민공화국 대사관에 대한 사회주의 형제국 대사관의 접촉은 공식적인 외교 행사에 극한되고 있다.

 

4.5. 소련 동지들에 의하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인구들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중화인민공화국 관계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소련 관계가 보다 친밀하고 우호적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이는 중화인민공화국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중매체에 대한 집중 보도활동의 결과이자 내부의 정치-사상적 교육의 결과이기도 하다. 그러나 인민들은 중화인민공화국 내부의 사정에 대한 이해가 없다. 이러한 내부 사정이란 예를 들어, 공개적인 권력 투쟁과 마오쩌둥의 뒤를 이을 장기적인 후계자의 부재, 그리고 중국 정책에 대한 미미한 의구심과 같은 것이다.

 

전체적으로 그리고 상당 부분까지 조선인들의 감정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이를 특정 양자활동에서만 공식적으로 기념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1950~1953년 미국과 남한과의 전쟁에 중국이 참전한 사실에 상당히 영향을 받고 있다.  

 

5.0. 결론

 

5.1. 원칙적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소련 및 사회주의 형제국, 그리고 중화인민공화국 사이에서 정책의 “균형을 계속하여 추구할 것이다. [그러나] 이로 인해 실용성을 고려하여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는 결정이 불가하지는 않을 것이다.

 

그러나 근시일 내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중화인민공화국 관계에서 큰 변화가 예측되지는 않는다.

 

5.2. 중화인민공화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중국과 가까이하고 그들과 소련 및 기타 사회주의 형제국 사이에 우호적 관계가 진전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상당한 노력을 기울일 것이다.

 

현재 중국 지도층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책은 그들의 “독립과 “자주 추진 노력을 지지하는 것처럼 가장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의 의견은, 중화인민공화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중국의 반사회주의, 반소련주의 정책 동반자로 포함하는 데에 성공할 수 없다는 것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상과 정책의 기초와 현실적인 이해관계는 이를 가능하게 하지 않을 것이다.

 

5.3. 마오쩌둥의 사망 이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중화인민공화국과 동등한 협력자로 그들의 입장을 다듬어왔으며, “정책 균형에 관한 한 그들의 중화인민공화국에 대한 의존성을 어느 정도 감소시켰다. 그러나 추후에도 [다음과 같은] 연속성을 보일 것이다: 특정 국제 사안에 대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접근법은 중화인민공화국을 고려하여 이루어질 것임.

 

우리로서는 최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중화인민공화국에 대한 특정 쟁점들을 계속하여 면밀히 관찰해야 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 최근 미 국무부 장관 [사이러스] 반스의 중국 방문과 남한에서의 미군 철수에 관한 중국의 서늘한 반응과 같은 것들이 이것이다.

 

5.4. 3.0에서 언급된 의견의 차이와 쟁점 등은 양국의 관계에 점차 많은 영향을 미칠 것이다. 특히 중국 지도층의 거친 반소련주의 노선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이해와 북조선이 적으로 인정하는 상대 [소련연합이 아닌 미국], 그리고 국제공산주의로동당 사이의 통합과 결합을 이루고자 하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목표와 대치된다. 이에 우리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사회주의 형제당에 가까이 하고자 몇 가지 방면에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고위급 및 최고위급 조선 동지들과의 회담을 통해 뚜렷한 사례를 들어 중국 지도층의 정책 특징을 적합한 방법으로 드러내는 노력 등이 긴요하다.

Steinhofer

 

특사

 

CC:

 

- 중앙위원회, 국제관계부

 

- 외무성, 극동부

 

- 외무성, 본부

 

- 대사관, 정치부

 

[1]Mutual Balanced Forces Reduction negotiations in Vienna

A comprehensive assessment of Sino-North Korean relations written by the Embassy of the German Democratic Republic in North Korea.

Author(s):



Document Information

Source

Political Archive of the Federal Foreign Office, Berlin (PolA AA), MfAA C 6857. Translated by Bernd Schaefer.

Rights

The History and Public Policy Program welcomes reuse of Digital Archive materials for research and educational purposes. Some documents may be subject to copyright, which is retained by the rights holders in accordance with US and international copyright laws. When possible, rights holders have been contacted for permission to reproduce their materials.

To enquire about this document's rights status or request permission for commercial use, please contact the History and Public Policy Program at [email protected].

Original Uploaded Date

2012-05-18

Type

Report

Language

Record ID

114128

Donors

ROK Ministry of Unification and Leon Levy Foundation